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 관련 태도

이용수  793

영문명
Adolescents" School Bullying Experience and Suicidal Ideation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최준영(Choe Joon Young)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7년 제2호, 223~238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사회조사연구소에서 실시한 2004년 전국 청소년 실태조사의 조사결과 중 일부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에 관한 태도를 분석한 것이다. 전국의 중·고등학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다단계 무선층화집락표집을 사용하여 중학교 120개교, 고등학교 230개교에서 2학년 두 반씩을 최종 집락으로 선정하여 전원을 조사하였다(N = 10,233명). 분석결과 집단따돌림 경험이 청소년들의 자살관련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돌림의 피해를 경험한 학생은 무경험 학생에 비해 두배 가까이 높은 자살 충동을 경험했으며, 자살 행위에 대한 의견도 피해 학생은 무경험 학생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보이고 있었다. 또한, 집단따돌림의 가해 학생 역시 자살충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보다는 덜하지만 이들 역시 자살충동, 자살에 대한 태도, 그리고 자살사이트 방문 등에서 가해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주도적 가해자인 학생들이 수동적 가해자에 비해 세 영역 모두에서 더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이는 가해자는 집단따돌림의 단순 가해자 혹은 수혜자라고 느끼는 일반의 인식과 상반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을 피해자/가해자/가해-피해자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자살관련 태도를 분석한 결과, 가해와 피해를 모두 경험한 집단이 자살충동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해자, 가해자, 가해-피해자 모두 집단따돌림의 피해자라는 점을 이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chool bullying on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using all schools nationwide as the population. Within 120 middle schools and 230 high schools selected in the final stage, two classes of second grade were chosen in each school as the final sample. The result shows that school bullying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e victimized students showed higher ratio of suicidal impulse and more tolerance toward actual suicide than students with no such experience. However, the bullied students also reported higher ratio of suicidal impulse experience and tolerance toward suicide. In addition, the leaders of bullied students showed highest ratio of suicidal ideation, followed by passive bullied students and those with no such experience. Finally, those with both experiences (bully/victim) showed higher ratio of suicidal ideation compared to bullied and victimized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victims and bullied students suffer from the lack of friendship support which eventually leads to higher suicidal ideation.

목차

1. 연구 배경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토의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준영(Choe Joon Young). (2007).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 관련 태도. 사회연구, , 223-238

MLA

최준영(Choe Joon Young). "청소년의 집단따돌림과 자살 관련 태도." 사회연구, .(2007): 22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