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광수 소설에 투영된 근대적 주체의 염원과 식민지 근대성에 관한 연구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우수상 수상논문

이용수  845

영문명
A Study on the Modern Subject and Colonial Modernity of Korea Represented in Yi Gwang-su’s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김도훈(Kim Leo)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7년 제2호, 99~12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이광수의 소설이 표상하는 근대적 주체의 염원과 식민지 근대성의 현실을 텍스트에 내재된 ‘욕망’의 구조 변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살펴본다. 이광수를 단순히 계몽작가이자 통속작가로 보는 관점이나 일제 말기에 그가 보여준 친일 행적의 동기를 통해 춘원의 사상과 글쓰기의 내재적 모순을 발견하고자 하는 기존의 소설 독해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이광수 소설의 서사구조와 그 변동을 개인과 역사적 맥락과의 동태적 상호작용을 통해 분석적으로 접근한다.
  이광수의 소설이 내포한 개인적인 욕망의 구조와 그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상황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근대적 주체와 소통하고자 한 작중화자의 염원이 식민지 근대성의 현실과 맞물려 어떤 굴곡의 과정을 거쳤는지를 르네 지라르의 소설 분석틀을 빌려 조명한다. 춘원의 글쓰기를 단순히 친일행각에 대한 자기변명 내지 합리화의 서사로 바라보기보다는, 그의 글에 반영된 식민지 조선의 현실 속에서 당대의 지식인이 맞닥뜨린 실존적 상황으로서의 ‘고아의식’의 문제를 식민지 근대성의 구체적 양상으로서 들여다본다.
  이를 위해 조선을 당위론적 의무로, 일본 제국을 궁극적인 욕망의 투사로 보는 기존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이광수가 ‘각성된 자아와의 소통’이라는 궁극적 욕망을 추구하는 데에 매개된 욕망의 두 축 - 민족의 계몽 및 예술적 창조와 표현 - 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광수의 소설들에 투영된 매개된 욕망은 연대기적으로 일본 제국에 대한 의존 → 조선으로의 회귀 노력 → 조선 사회의 몰이해와 편협함에 대한 원망 → 민족 개조의 이상 → 물리적인 도달불가능성에 대한 자각 → 증폭된 욕망과 좌절의 고통을 잊기 위한 체념의 궤적을 그린다.
  이런 매개된 욕망의 굴곡을 읽어냄으로써 강요된 근대화의 과정을 밟는 식민지의 현실속에서 근대적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자아와의 소통을 갈구한 식민지 지식인 개인의 내면세계와 고뇌에 보다 심도 있게 다가서고자 한다. 아울러 이런 해석을 통해 현재의 ‘근대적 주체’인 한국인들이 당면한 역사사회학적 문제에 대해 새롭게 성찰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s probes the represented will to the modern subject and the reality of colonial modernity, through an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desire" embedded in Yi Gwang-su"s literature. Conventional perspectives on Yi"s novels were to discover the innate contradiction of his literature and ideas that were supposed to result from the desire to justify Yi"s own deeds - collaboration to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 try to go beyond the perspective by studying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novel"s narrative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dopting Ren? Girard"s analytic frame on novels, it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 author"s will to communicate with a modern subject has undergone a twisted trajectory. It concerns the interaction of Yi"s own structure of desire and the historical context that had influenced on it. Instead of regarding his literature as a self-excuse or a justification, the study looks into the "sense of orphanage" in the text as an existential problem that the intellectuals could not help feeling in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I argue that the existential problem was a concrete feature of the colonial modernity.
  It moves beyond the conventional dichotomy to regard the represented objects in the text: colonial Korea as a condign duty to serve for and imperial Japan as a reflection of ultimate desire. Rather, I analyse how the two pillars of the mediated desire - the national enlightenment and the artistic expression of himself - consistently represent itself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Reading through the convoluted trajectory of the mediated desire I would try to make a step closer to the colonial intellectual"s actual mind and agony. I will elucidate how the ego in the literature longed for the communication with a self that could actually practice a modern love. Through this approach and interpretation I"d like provid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oday"s Koreans as the "modern subject", and also reflect on the historical / sociological problems they are facing now.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 이광수의 ‘고아 의식’과 식민지 근대성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훈(Kim Leo). (2007).이광수 소설에 투영된 근대적 주체의 염원과 식민지 근대성에 관한 연구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우수상 수상논문. 사회연구, , 99-123

MLA

김도훈(Kim Leo). "이광수 소설에 투영된 근대적 주체의 염원과 식민지 근대성에 관한 연구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우수상 수상논문." 사회연구, .(2007): 9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