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벽한 몸” - 사라 케인의 『정화』에 나타난 훈육, 욕망, 신체
이용수 391
- 영문명
- “Body perfect”: Discipline, Desire, and the Body in Sarah Kane"s Cleansed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영덕(Yungduk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84호, 85~1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Sarah Kane"s Cleansed as a postmodern political play. While repeating the political engagement of playwrights like Edward Bond and Caryl Churchill who are committed to representing the social structures of violence, Kane demonstrates a postmodern sensibility informed by the ideological and moral uncertainty of the 1990s culture of "cool" detachment. Kane"s play follows Elinor Fuchs"s notion of "the death of character" and presents fluid and fragmentary characters who are constituted as subjects in power relations, in which they are subject to a variety of disciplinary technologies including imprisonment, surveillance, and torture. The "bodies in pain," however, become the locus of resistance when Carl and Rod"s love survives intensifying torture and when Grace/Graham"s polyvalent identities/bodies subvert the social order predicated on the dichotom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man and woman, life and death. The characters" desire for love resists and survives Tinker"s disciplinary effort to eliminate it and to perpetuate the existing order. In dramat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ary power and individual desire, Kane combines postmodern aesthetics and the poetics of violence and cruelty to produce a unique political pla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고작성 및 편집양식 외
- Reader Expectations and the Validity of Composition Scoring: Implications for Componential Scoring
- 존 클레어의 생태적 비전
- Reexamining the Utility of the Passive Voice in Authentic Texts
- 실재의 상징적 재현과 해석의 문제
- 영어의 비속어와 완곡 표현에 대한 소고 -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 The Use of Dionysus, Demeter and Kore Myths: William Carlos Williams’ Mythical Imagination
- What Is It For If It's Before Me?: Subjectification and Grammaticalization of English For and Before
- 『굶주린 층의 저주』에 나타난 연극적 모티프로서의 가족저주
- 폴라 보겔의 『데스데모나: 손수건에 관한 극』에 나타난 셰익스피어 비극의 페미니스트 각색연구
- 무서운 낯섦 - 플레너리 오코너의 단편에 나타난 초월적 실존
- “완벽한 몸” - 사라 케인의 『정화』에 나타난 훈육, 욕망, 신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