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이용수 12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ai Bao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柳富鉉(Yoo Boo-Hyeon)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16호, 71~10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existing book of the Tripitaka Kai bao and second Tripitaka Koreana. I want to draw on clues that can come to a final conclusion from the text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 result that, the volumes printed by woodcut is wholly identical to the letter shape, size and the spaces in between. In short, all is regarded to be the true block book that is of an identical system. However, these are not perfectly in the style of block books or the original three books. There are trivial and partially differences in the several elements. However it can be found to be more or less the original letter transfer.
목차
Ⅰ. 緖言
Ⅱ. 「開寶勅版大藏經」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
Ⅲ. 「開寶勅版大藏經」의 現存本과 「高麗再雕大藏經」의 比較
Ⅳ. 結言
영문초록
Ⅱ. 「開寶勅版大藏經」의 刊行과 高麗에서의 受容
Ⅲ. 「開寶勅版大藏經」의 現存本과 「高麗再雕大藏經」의 比較
Ⅳ. 結言
영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불교학을 위한 근본윤리로서의 불교의 불살생
-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 여래장사상의 중국적 수용과 전개 - 『원각경』과 그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
- 만해 한용운의 선적(禪的) 역할의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화장, 불교식 장례 - 그 흐름과 변화
- 『莊子』의 至人無己論에 대한 불교의 無心論的 해석 - 憨山 德淸의 사상을 중심으로
- 儀禮的 관점에서 甘露幀畵와 水陸畵의 內容 비교
-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 『법화경』 燒身供養의 問題點과 그 象徵性
- 불교학연구회 활동일지(2007년 1월~4월) 외
- 신라불교사상사와 『삼국유사』의해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전쟁과 폭력 그리고 종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 나가르주나와 스피노자 - 사유의 극단, 초월론적 세계관의 극복
- 『불교』에 나타난 조종현의 학술과 개혁론 - 『대승기신론』강의와 강원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