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불교사상사와 『삼국유사』의해편
이용수 575
- 영문명
- Sam-guk-yu-sa and the History of Silla Buddhist Thoughts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정병삼(Jung Byung-Sam)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16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am-guk-yu-sa (三國遺事) is an excellent text which shows the cultural thoughts of late 13th century Goryeo. In the politically confused period, it focused on the subject of historical extraordinary and protect of Buddhist belief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dependently. We can research plentiful materials of Buddhist history in Sam-guk-yu-sa. In Sam-guk-yu-sa, most important parts and subjects are the chapter of Tap-sang (塔像) and that of Eui-hae (義解). The chapter of Tap-sang contains the story about making Buddhist relics like pagodas etc. and relative stories about miracles and beliefs. The chapter of Eui-hae contains the constructions and spreads of Buddhist thoughts. So the chapter of Eui-hae is similar to the biography of the monks. In other chapters like Sin-ju (神呪) and Gam-tong (感通), we can find the matters of Buddhist thoughts also. But the accurate matters of Silla Buddhist thought,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the chapter of Eui-hae. The chapter of Eui-hae is consisted of Vijnanavada (唯識), Madhyamika (空) and Vinaya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of Wonhyo (元曉), Vijnanavada and Hwaeom(華嚴) in unified Silla period. In comtemporary research, the history of Silla Buddhist thoughts is cope with the contents of the chapter of Eui-hae. So the chapter of Eui-hae shows us the major parts of Silla Buddhist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al change. In addition, some men of major thoughs like Woncheuk, and major part like Seon (禪) were omitted. To investigate that reason is a future problem.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유사의 체제와 의해편
Ⅲ. 의해편의 구성과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
Ⅳ. 맺음말
영문초록
Ⅱ. 삼국유사의 체제와 의해편
Ⅲ. 의해편의 구성과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
Ⅳ. 맺음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불교학을 위한 근본윤리로서의 불교의 불살생
-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 여래장사상의 중국적 수용과 전개 - 『원각경』과 그 주석서들을 중심으로
-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
- 만해 한용운의 선적(禪的) 역할의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화장, 불교식 장례 - 그 흐름과 변화
- 『莊子』의 至人無己論에 대한 불교의 無心論的 해석 - 憨山 德淸의 사상을 중심으로
- 儀禮的 관점에서 甘露幀畵와 水陸畵의 內容 비교
-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 『해심밀경』「분별유가품」을 중심으로
-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 『법화경』 燒身供養의 問題點과 그 象徵性
- 불교학연구회 활동일지(2007년 1월~4월) 외
- 신라불교사상사와 『삼국유사』의해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고교학점제 하 다문화 교육 운영 방향 고찰
-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병렬이중 매개효과
- 금강경 기도에 참여한 여성 참여자의 초월적 시간관,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 분석 연구 -연령과 종교생활 기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