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and Practice of Teaching English Poetry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여홍상(Hongsang Yeo)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1집 1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possible assets of various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that can be introduced in teaching English poetry to Korean students at both college and graduate levels as part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in general. The introduction puts the issues of the defence of poetry―as related to the meaning of teaching English poetry―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19th-and-20th century. As a preliminary discussion, I try to define "poetry" as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genres of literature. Broadly, three main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of teaching English poetry are suggested: teaching poetry as a source of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poetry in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in its broad sense; teaching poetry in terms of various theories of literature and narrative. The conclusion emphasizes that whatever the approaching methods,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English poetry should be to enhance and cultivate the critical and creative literacy of the students to help them contribute themselves as future cultural elite for a betterment of Korean and global society as well. It is also suggested that Korean scholars need to cooperate to edit and publish textbooks and referen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poetry more effectively.
목차
1. 영시 교육의 의미―‘시’의 옹호와 영시 교육
2. (영)시 장르의 정의와 특징
3. 영시 교육의 방법론
4. 영시 교육의 실제―현장에서의 예
5. 영시 교육의 의미와 보람
인용문헌
부록
Abstract
2. (영)시 장르의 정의와 특징
3. 영시 교육의 방법론
4. 영시 교육의 실제―현장에서의 예
5. 영시 교육의 의미와 보람
인용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와 텍스트 - 영화를 통한 영시교육
- 영시 교육의 의미와 실제-방법론의 검토
- 패턴 시 쓰기 활동 기반 영미시 교육
- “여성과 문학 수업의 핵심 텍스트로 「제인 에어」 가르치기
- 영미시 교육과 영미시 활용 - 정의적, 인문학적, 영어교육적 관점을 통합한 영미시 교육 방법론
- 총체적 해석론의 한계 - 『정치적 무의식』의 해체론적 읽기
- The 60s Counterculture - Debates, Literary Influences, and Intellectual Dimensions
- 인문학 위기와 영시 교육의 의미 - 워즈워스의 공동체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실낙원』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영미소설 교육과 타자와의 입장 바꾸기
- 비인기 과목 토론식으로 수업하기 - 중세ㆍ르네상스 영문학의 경우
- 11-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