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English Poetry" vs. "The Use of English Poetry": Ideas for Incorporating Humanistic Approaches and Affective Sides of Language Learning into English Poetry Courses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어도선(Do Seon Eur)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1집 1호, 67~10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offering a range of practical ideas for incorporating the study of English poetry as a literary text and its use as a language resource into English poetry courses in Korea. Given that Humanistic Approach contributes in a significant way to enhancing EFL learners" learning in language and humanities,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the affective sides of language learning into both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he pleasure of reading English poems. Explaining theories regarding benefits of using English poems, this paper shows how English poetry activities, when well organized and used, can promote both language and self in ways in which learners are encouraged to approach language learning with self-esteem and motivation highly elevated enough to work with their critical and creative powers freely. In presenting a wide variety of motivating activities ranged from the pre-reading and while-reading to the post-reading section that focus on both linguistic and humanistic approaches, this paper suggests a major paradigmatic shift in the field of English poetry studies in Korea. The shift, this paper argues, will usher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of English poetry as an end in itself and the use of English poetry as a rich language resource, which can be the most practical and at-hand way to cope with crisis in Humanities in Korea.
목차
Ⅰ. 서론: 영문학의 위기와 영미시 교육
Ⅱ. 영미시를 활용한 영어 학습 이점에 관한 이론적 이해
Ⅲ. 인문학 관점에서의 영미시 교육과 영어교육 관점에서의 영미시 활용
Ⅳ. 새로운 절충 모델과 방법론
Ⅴ. 결론: 정의적, 인문학적, 영어교육적 관점이 통합된 영미시 교육
인용문헌
Abstract
Ⅱ. 영미시를 활용한 영어 학습 이점에 관한 이론적 이해
Ⅲ. 인문학 관점에서의 영미시 교육과 영어교육 관점에서의 영미시 활용
Ⅳ. 새로운 절충 모델과 방법론
Ⅴ. 결론: 정의적, 인문학적, 영어교육적 관점이 통합된 영미시 교육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와 텍스트 - 영화를 통한 영시교육
- 영시 교육의 의미와 실제-방법론의 검토
- 패턴 시 쓰기 활동 기반 영미시 교육
- “여성과 문학 수업의 핵심 텍스트로 「제인 에어」 가르치기
- 영미시 교육과 영미시 활용 - 정의적, 인문학적, 영어교육적 관점을 통합한 영미시 교육 방법론
- 총체적 해석론의 한계 - 『정치적 무의식』의 해체론적 읽기
- The 60s Counterculture - Debates, Literary Influences, and Intellectual Dimensions
- 인문학 위기와 영시 교육의 의미 - 워즈워스의 공동체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실낙원』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영미소설 교육과 타자와의 입장 바꾸기
- 비인기 과목 토론식으로 수업하기 - 중세ㆍ르네상스 영문학의 경우
- 11-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