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Non-Sea-Salt(NSS) and Sea-Salt(SS) Sulfates on the Basis of Their Origin and Their Environment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저자명
- 김기현(Ki-Hyun Kim)
- 간행물 정보
- 『환경과학연구』제4권 제1호, 48~5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6.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문에서는 해염성과 비해염성 황산이온의 차이의 개념적인 차이에 대해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그러한 개념의 차이와 관련된 주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해염성 황산이온의 생성원은 생물성 기원과 인위적기원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다시 해염성황산이온에 대한 유사성과 차이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세가지의 개념((1) 해염성 황산이온, (2) 생물적 비해염성 황산이온, (3) 인위적 비해염성 황산이온)을 정확하게 정립하는 것은 지구의 대기환경에서 진행되는 황화합물의 순환을 이해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수순이다. 본문에서는 가장 최근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 각각의 개념이 지닌 환경학적 중요성을 지구환경 순환작용과 그에 관련된 개개 구성원의 역할을 연계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some cautions concerning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sea-salt(SS) and non-sea-salt(NSS) sulfate have been dealt seriously. Since NSS-SO₄ can be classified into biogenic and anthropogenic origin and they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SS-SO₄, descriptive definitions among those three terms-(1) SS-SO₄, (2) biogenic NSS-SO₄, and (3) anthropogenic NSS-SO₄-c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step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ulfur cycle in the global atmosphere.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these not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global atmospheric cycling of sulfur and their respective roles therein using up-to-date knowledge in this field of science.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 및 토의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서론
연구 및 토의
감사의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