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기반 배치시험 개발연구
이용수 119
- 영문명
- Developing a curriculum-based assessment of young English learners for placement purpose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일(Shin Dongil) 송지현(Song Jihyu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8권 4호, 161~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based assessment (CBA) of young learners in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CBA contributes to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and it is a vehicle for using students" performance data to make decisions about individually appropriate decis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BA, this study reviews Norwegian EVAluaion of English in Schools (EVA) Project to explore how Norwegian EVA Project team applied a local curriculum to the assessment process for young learners.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dures for developing a placement test of English, which is based on a local curriculum for young learners: how assessment tasks are developed, how students are assessed and are placed. The performance of 71 low-level young learners on a written part of the placement test was multiply rated and analyzed using Rasch modelled FACETS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lacement test mostly met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BA. In this study, the CBA to be locally developed for level placement purposes successfully diagnosed what it tried to ass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 프로그램의 교육과정기반 배치고사 개발과정
Ⅳ. 시험자료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 프로그램의 교육과정기반 배치고사 개발과정
Ⅳ. 시험자료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실태 및 개선을 위한 제언
- Action Research on Integrating Online Instruction
- 뉴질랜드 영어 및 마오리 영어의 특징
- 초등영어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기반 배치시험 개발연구
-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among Pre-service Teachers of EFL
-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습득 요인에 관한 연구
- 영어교육 연구와 실천의 불이적 세방화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