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실태 및 개선을 위한 제언
이용수 372
- 영문명
- The reality of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m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애(Kim Sung-A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8권 4호, 77~10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es. In order to find out what goes on in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es, the study first analyzed six video-taped classes taught by six teachers in six schools, and then administered two questionnaire surveys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opinions and attitudes about their English classes. Both the 87 teacher participants and the 694 student participants were from ten high schools in four different school districts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findings show that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s currently practiced fail to achieve enough effectiveness and that one main reason for this failure is lack of appropriate teacher techniqu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that despite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various constraints inherent in the Korean context,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es can still be improved to a great extent by the teachers’ appropriate techniques that are more sensitive to the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the teachers develop insights into a more effective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언어 학습 환경과 교수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Ⅱ. 언어 학습 환경과 교수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 고등학교 영어수업의 실태 및 개선을 위한 제언
- Action Research on Integrating Online Instruction
- 뉴질랜드 영어 및 마오리 영어의 특징
- 초등영어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기반 배치시험 개발연구
-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among Pre-service Teachers of EFL
-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 습득 요인에 관한 연구
- 영어교육 연구와 실천의 불이적 세방화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