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림 시의 장르 패러디 연구
이용수 176
- 영문명
- A Study on Genre Parody in the Sin Gyung-Lim’s poem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고현철(Ko Hyun-Chul)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4집, 337~3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genre parody in the Sin Gyung-Lim"s poems.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poems consist of two types of genre parody, that is,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Second, it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long-poems are show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on the fragment of each texts.
Third, it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lyric poems are show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on the whole of each texts.
Finally, it is claimed that genre parodies of Ballad and Muga in the Sin Gyung-Lim"s lyric poems are expose democratic emtions in the 1980s.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poems consist of two types of genre parody, that is,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Second, it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long-poems are show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on the fragment of each texts.
Third, it investigates that Sin Gyung-Lim"s lyric poems are show genre parody of Ballad and genre parody of Muga on the whole of each texts.
Finally, it is claimed that genre parodies of Ballad and Muga in the Sin Gyung-Lim"s lyric poems are expose democratic emtions in the 1980s.
목차
Ⅰ. 서론
Ⅱ. 민요 장르의 패러디: 민요시
Ⅲ. 무가 장르의 패러디: 굿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민요 장르의 패러디: 민요시
Ⅲ. 무가 장르의 패러디: 굿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경림 시의 장르 패러디 연구
- 한국 근대소설과 연애담론 - 1920년대 「동아일보」 연재소설을 중심으로
- 공지영과 김영하의 후일담 소설 연구
- 한국문학회 회칙 외
- 〈소대성전〉 창작 원천의 역상성명학적 연구
- 한무숙 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성격 연구 - 〈석류나무집 이야기〉의 사랑의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 합천 화양동 윤씨가 世傳 〈기수가〉의 문화적 함의
- 조선족 극작가 리광수의 희곡에 나타난 작가 의식과 공연 기법 연구
- 어부 지향 공간으로서 여강(驪江)의 인식
- ‘현실 아버지’의 탐색 과정에 나타난 식민 의식 - 이문열의 『변경』론
- 국립중앙도서관본 〈김상서전〉의 자료적 가치
- 상전 속인 하인 모티프의 갈래별 전개양상과 의미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유형들의 견주어 읽기 - 루마니아에서 동북아시아, 그리고 한국으로
- 〈옥상의 민들레꽃〉 연구
- 계몽과 설득의 의사소통방식으로서의 토론과 토론소설
- ‘첫날밤 신랑 피살담’의 서사적 양상과 의미
- 소위 ‘차유(差喩, transphor)’의 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