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cIntyre의 공동체주의와 교육의 공공성
이용수 284
- 영문명
- A study on MacIntyre"s Communitarianism and its Implications of Publicnes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고영호(Koh Young-Ho)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29集,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ublicness at issue in reference to MacIntyre"s communitarianism. Chapter Ⅰ introduced the background of the problems of publicness in education. In chapter Ⅱ, I explained MacIntyre"s communitarianism in the aspects of criticism on modern enlightenment, contextual self which is not isolated, and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community. Chapter Ⅲ dealt with the topic on "what is publicness?". For this, I analyzed conceptual structure of publicness and its originality as a national assistance. And I compared publicness with autonomy, which is to see if both are compatible or not. In chapter Ⅳ, I analyzed the meaning of educational publicness by focusing on the MacIntyre"s communitarianism and his discourse about publicness. Finally, I suggested that the publicness in education must be understood as positive equality, social integrity, national aid for fostering an whole-man, democratic decision-making.
목차
Ⅰ. 서론
Ⅱ. MacIntyre의 공동체주의
Ⅲ. 공공성에 관한 담론
Ⅳ. MacIntyre의 공동체주의와 교육의 공공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MacIntyre의 공동체주의
Ⅲ. 공공성에 관한 담론
Ⅳ. MacIntyre의 공동체주의와 교육의 공공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