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Unit of English Learning of Primary School Children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Unit of English Learning of Prim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Seongshik Kim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2권 제1호, 313~3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a strong tendency to remember the meaning of a whole English sentence without knowing its underlying structure and internal constituents. In order to identif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 of learning how the students perceive language input, the test to compare sentence with word comprehension i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who are sampled from four grades of a primary school. The sentences used for the test were newly presented ones in the given grade, and the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constituents of the same sentences. As a result, the subjects, regardless of their grade, understood the sentences much better than the words in most cases, and sixth graders appeared to have developed their ability to segment the sentences which they had contacted with for more than three years.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words in their textbooks need to be presented in a phrasal type and the opportunity for the higher graders to segment or chunk sentences into smaller units should be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목차
영어 초록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소개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소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Learning 자료개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요구도 조사
- 학부모 보조교사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준별 지도 방안
- The Unit of English Learning of Primary School Children
- 초등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연구
-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 초등영어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원고(script) 쓰기를 통한 영어 발문 능력 신장 교수 연수 프로그램
- 초등학생들의 학습 전략과 학습 스타일의 관계 분석
- 세계어로서의 영어와 효과적인 초등영어교사
- 교실연구: 초등 영어 교실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가?
- 교육대학교 원어민 영어 교수 제도에 대한 평가
- 초등학교 영어ㆍ수학 통합 교육에서 CALLA의 적용 효과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어휘의미 추론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