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setta Stone and Egyptian Alphabet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박찬기(Park Chan-Ki)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25권 제1호, 235~2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ele, which was discovered fortuitously by French expeditionary forces in Lower Egypt in August 1799, drastically changed our outlooks on Egypt. It was unearthed by French soldiers who were repairing Fort St. Julien, located in a village called Rosetta on the Mediterranean shore, in preparation for defense against British attack. Although the inscriptions on the stele were carv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hieroglyphic, demotic, and Greek, from top to bottom, the meaning of each of the inscriptions is the same. As a result, the Rosetta Stone became the key in deciphering Egyptian hieroglyphs. It was a watershed in understanding the daily life and routines of ancient Egyptians and was the foundation in establishing a modern Egyptology.
Until the hieroglyphs was finally deciphered by Jean-Francois Champollion in 1824, there had been many speculations, which were all incorrect, concerning the meaning of hieroglyphic inscriptions on ancient Egyptian tombstones, obelisks, papyruses, walls of Pyramids, etc.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people, including both travellers and scholars, tried to decipher the Egyptian hieroglyphs according to what the hieroglyphs pictorially represented. They assumed that it was out of question that Ancient Egyptians would have used the hieroglyphs as characters in a phonetic alphabet. This approach failed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s of the hieroglyphs for 1400 years. This example teaches us a valuable lesson in studying about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ose in the Middle East. Also, in many textbooks, essay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some writers still argue that the Egyptian hieroglyphs are characters of a pictorial writing system, much like Chinese characters. This outlook on Egyptian hieroglyphs is greatly flawed and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Until the hieroglyphs was finally deciphered by Jean-Francois Champollion in 1824, there had been many speculations, which were all incorrect, concerning the meaning of hieroglyphic inscriptions on ancient Egyptian tombstones, obelisks, papyruses, walls of Pyramids, etc.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people, including both travellers and scholars, tried to decipher the Egyptian hieroglyphs according to what the hieroglyphs pictorially represented. They assumed that it was out of question that Ancient Egyptians would have used the hieroglyphs as characters in a phonetic alphabet. This approach failed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s of the hieroglyphs for 1400 years. This example teaches us a valuable lesson in studying about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ose in the Middle East. Also, in many textbooks, essay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some writers still argue that the Egyptian hieroglyphs are characters of a pictorial writing system, much like Chinese characters. This outlook on Egyptian hieroglyphs is greatly flawed and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목차
Ⅰ. 서론
Ⅱ.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략과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
Ⅲ. 이집트 그림문자의 해독과정
Ⅳ. 로제타 스톤 발견 이전의 이집트문자 해독
Ⅴ. 이집트인의 사용문자의 변천과정
Ⅵ.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고대 이집트 알파벳
영어 초록
Ⅱ.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략과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
Ⅲ. 이집트 그림문자의 해독과정
Ⅳ. 로제타 스톤 발견 이전의 이집트문자 해독
Ⅴ. 이집트인의 사용문자의 변천과정
Ⅵ.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고대 이집트 알파벳
영어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로제타 스톤(Rosetta Stone)과 이집트 알파벳
- 터키 가족법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 터키 지식인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집트 가족법 대한 지식인들의 인식조사 연구
- 고대 아랍 부족어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이라크파병을 계기로 본 한국ㆍ중동 협력관계 - 정치ㆍ외교적 측면 분석
- 튀르크족의 민담에 나타난 영웅의 특징 - 바라바 튀르크족의「제스테이 묑쾨」민담
- 한국어ㆍ아랍어 색채어의 의미에 관한 연구 -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이맘 무함마드 이븐 압둘와합의 이슬람종교 운동
- Afforestation in the UAE
- 이라크 시아파 원리주의 운동의 성격과 역할 - 이라크-이란 전쟁과 걸프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경기지역학연구 제12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