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이용수 1,535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Art Appreciation Program Through Art Museum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금희(Ahn Keum-Hee) 라현숙(La Hyoun-So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0券 2號, 251~28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관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미술관 관람 동호회를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의 전시회를 관람하고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감상 수업의 형태는 미술관 관람 전과 미술관 관람 중, 미술관 관람 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각 수업의 진행시마다 필요한 감상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함께 사용하였다. 미술관 감상 수업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학습지 위주의 감상과 느낌 위주의 감상 수업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며 통합적 감상 수업으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조형원리의 이해와 다양한 감상 방법의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선 사항에 따라 수정된 감상 수업은 다음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에 적용하였다. 계획, 실행, 반성 등의 반복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감상 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도모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ffered students many chances to enjoy art works in museums and make them research, present, and discuss during the process of appreciation to encourage them to think, feel, and understand the artwork. The teacher, a co-researcher, has conducted this study as a host of appreciation class and reflected the classes. As a co-researcher, the teacher examined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description and comments in relation to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y have been re-applied to the next classes. The other co-researcher, the art educator, help the teacher analyze and relfect the art classes during the whol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organized a community to visit art gallery targeting 5th graders, and investigate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questions and interview. There were 8 sessions of appreciation class conducted from 2005, Jul to 2006, Mar. The program divided into three steps, such as pre-visit program, during visit program, and after visit program. It utilized some worksheet of appreciation as needed. Before the gallery experience, it focused on student"s presentation, including students assignment regarding the purpose of performance, artists, an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experience,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s using worksheet presented earlier. Then, students began to deliver their opinions toward the artworks looking at the worksheets, and present their feelings or contents in other way when they finish the gallery experience.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an art gallery was effective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competence.
Second, students became to understand artist"s purpose, its periodicㆍ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a formative feature of artwork.
Third, it was useful for students to have a standard to appreciate the values of artwork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many ways of art appreciation.
Fourth, for the better less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enthusiastic efforts in planning, practicing, and reflecting of art class were essential.
This study organized a community to visit art gallery targeting 5th graders, and investigate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eacher"s questions and interview. There were 8 sessions of appreciation class conducted from 2005, Jul to 2006, Mar. The program divided into three steps, such as pre-visit program, during visit program, and after visit program. It utilized some worksheet of appreciation as needed. Before the gallery experience, it focused on student"s presentation, including students assignment regarding the purpose of performance, artists, an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experience,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s using worksheet presented earlier. Then, students began to deliver their opinions toward the artworks looking at the worksheets, and present their feelings or contents in other way when they finish the gallery experience.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an art gallery was effective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competence.
Second, students became to understand artist"s purpose, its periodicㆍ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a formative feature of artwork.
Third, it was useful for students to have a standard to appreciate the values of artwork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many ways of art appreciation.
Fourth, for the better less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enthusiastic efforts in planning, practicing, and reflecting of art class were essentia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 계획
Ⅳ.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의 실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 계획
Ⅳ. 미술관에서의 감상 수업의 실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방향
- 화가들의 조각 연구
- 동양의 미 인식을 위한 미술교육 방법론
- 미술 자아개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오브제’에 미적 지각 對象性 이해를 통한 미술 교과서 내용구성의 필요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초등 미술 교과서 중심으로
-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한 전통문양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 특수학급 미술수업의 현황 및 치료교육적 접근에 의한 제언 - 수원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화를 바탕으로 한 소그룹 프로젝트에서 해석학적 순환에 의한 아동의 그림표현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박물관 전시물의 개념 변화와 전시물 기반 학습의 적용
- 중등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논의 -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 -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사례 연구
- 한국미술교육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