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화를 바탕으로 한 소그룹 프로젝트에서 해석학적 순환에 의한 아동의 그림표현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Using Hermeneutical Circulation in a Small-group Project through Dialogu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유(Park Jeong-You)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0券 2號, 161~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증주의적 세계관에 의한 교육의 한계로부터 비롯된 문제들에 대한 대안으로 해석학적 관점의 교육을 바탕으로 한 소그룹 프로젝트 수행에 의해 이루어졌다. 아동과 교사, 아동과 텍스트, 아동 상호간의 대화를 통한 소그룹 프로젝트에서 아동들은 미술시간에 겪는 표현의 어려움들을 스스로의 표현 전략에 의해 해결해 나가면서 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해 갔다. 또 대화를 통한 소통이 활발해질수록 텍스트에 대한 보다 다양한 해석들이 드러나고 그러한 다양성 안에서 상호 간에 공유된 이해에 이르면서 또래 간의 의미 만들기(meaning-making)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의미가 그림으로 변환되었을 때 아동들의 표현에서 변화가 드러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이끈 아동들의 대화를 해석학적 순환에 의해 분석하였는데 교사와 아동, 텍스트 사이에 전 이해와 새로운 이해의 순환, 질문과 응답의 순환, 참여와 초연의 순환 등이 일어났음이 드러났다. 아동들은 대화를 통해 더 나은 이해에 이르면서 표현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해 갈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formation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using hermeneutical circulation. In hermeneutics, education is seen as a process of human life, and it is suggested that each individual constructs knowledge and discovers meanings based on specific life experiences. This study proposes a small-group project through dialogue. In the begging of the project, children speak candidly about their concerns or experiences. In the dialogue, children decide the theme based on their common interests. Children express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theme into artistic expression. While the project progresses, children share their own understanding about the theme or artistic expressions with their teacher and peers. They can gain more profound understandings and reveal their knowledge through discussion. Finally, they can express their new understanding through art. As a result, children can improve their artistic ability. The entire process of this practical study documented by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ialogue of the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 circulation because the dialogue enabled the children to improve their artistic ability. From the documentation, the researcher found out hermeneutical circulation such as the circle of questions and answers, the circle of pre-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and the circle of participation and distanci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해석학과 교육
Ⅲ. 연구방법
Ⅳ.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해석학과 교육
Ⅲ. 연구방법
Ⅳ.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 미술관 체험 활동을 통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실행 연구
-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방향
- 화가들의 조각 연구
- 동양의 미 인식을 위한 미술교육 방법론
- 미술 자아개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오브제’에 미적 지각 對象性 이해를 통한 미술 교과서 내용구성의 필요성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초등 미술 교과서 중심으로
-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한 전통문양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 특수학급 미술수업의 현황 및 치료교육적 접근에 의한 제언 - 수원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화를 바탕으로 한 소그룹 프로젝트에서 해석학적 순환에 의한 아동의 그림표현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박물관 전시물의 개념 변화와 전시물 기반 학습의 적용
- 중등 미술교육의 목적과 의미에 관한 철학적 논의 - ‘미술을 통한 교육’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 미술교육에서 프로젝트 학습 방법론의 역할 - 효과적인 현대미술의 이해와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사례 연구
- 한국미술교육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