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명학의 전파와 조선지식인 사회의 대응 - 전래와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학술사상적 쟁점을 중심으로 -
이용수 340
- 영문명
- The propagation of Yangming and the response in Choseon society - In Relation to the philosophical issues in the process of propagation and acceptance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김경호(Kim Kyung-Ho)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제24집,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양명학이 조선사회에 전래ㆍ수용되는 과정에서 16세기 조선 사회의 지식인들이 양명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사유방식과 가치체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대응하고 있는지를 양명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사유방식과 가치체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질적인 사회ㆍ문화적 양식을 담고 있는 양명학이라는 사유 구조를 접촉한 조선 사회는 이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자체의 학술사상을 형성하면서 자기화하고 있는지를 철학적 이론 분석뿐만 아니라 시상사적 문화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기존의 양명학 전래와 수용에 대한 논의는 단편적인 사실의 기술이나 특정인의 양명학관에 치중하여 16세기 조선이라는 시공간이 내함하고 있는 역동적인 면모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조로 종래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면서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 과정을 사상사적ㆍ문화사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어서 16세기 조선의 사상계에 쟁점으로 등장하였던 마음과 본성, 예의 절목과 실천 등의 문제가 양명학의 주요 명제들과 어떠한 상관을 갖는지 고찰하였다. 결국 본 논문은 조선사회의 성리학적 가치질서 확립과 재편이라는 이중적인 면모를 16세기 중엽부터 전래되기 시작한 양명학을 통해서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영문 초록
This dissertation aims to reflect how the ChoSun society of intelligentsia in 16 century understand and response to the new mode of thought and system of value i.e. Yangming in the process of propagation and acceptance. I want to investigate how confronting with the structure of thought such as Yangming consisted of the social and cultural modes different from ours ChoSun society could form its own thought and digest them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ought and culture.
The traditional discussions about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has payed attention to the simple description of facts or the explanation of the particular viewpoint. So they couldn't disclose the dynamic image of 16 century ChoSun. Therefore accepting the results of the traditional research this dissertation tries to reflect the process of propagation and acceptance in respect of the history of thought and culture and in addition, to investigate how the important Yangming's propositions can be related to the mind and the nature, Propriety and practice etc which appears as issues in the world of thought in 16 century ChoSun.
After all, this dissertation is the essay that intend to explicate the dual aspec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of Neo-confucian values in ChoSun society by means of the Yangming which begins to propagate from the mid-16th century.
목차
【요약문】
【Abstract】
Ⅰ. 문제제기
Ⅱ. 양명학의 전래 시기의 동향
Ⅲ.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양상
Ⅳ. 양명학의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학술사상적 쟁점과 그 영향
Ⅴ. 결론 - 16세기 양명학의 좌절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