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 교원양성체제와 한국에의 시사점 - 일반계 중등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
이용수 502
- 영문명
- Das Lehrerausbildungssystem in Deutschland und dessen Bedeutungen für Kore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영근(Youngkun Tscho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일의 교원양성제도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그 유사성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로 독특한 바, 한국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독일 교원양성제도 자체가 지니는 일반적 특징이 무엇인지 언급한 뒤 양성단계의 구조와 세부내용에 대해 비교교육학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대학의 교직과정과 그 이후의 수습근무를 근간으로 하는 독일의 2단계 양성교육체제의 핵심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상세히 개관함으로써 독일의 양성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 다음에는 독일의 양성체제를 유럽 국가들과 비교함으로써 독일의 제도적 특성을 살펴보고, 세계화 및 유럽연합의 출범으로 인해 쟁점화 되고 있는 문제들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독일의 교원양성제도가 한국에 줄 수 있는 시사점들을 추론하여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 독일 교원양성제도 연구의 필요성
Ⅱ. 독일 교원양성 교육체제의 일반적 특징
Ⅲ. 교원양성의 단계별 교육내용과 특성
Ⅳ. 독일 교원양성체제의 국제비교와 쟁점
Ⅴ. 결론 : 독일의 양성제도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 대안학교 개념의 이해와 실천적 특징
- 중국의 경제발전전략에 따른 교육체제의 개혁 연구
- 미국 연방교육부(USDE)의 대학평가 인증기구 인정제도에 대한 연구
- 비교교육학의 과제와 전망 : 상생주의적 비교교육의 발전을 지향하며
- PISA 2000 이후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동향
- 독일 교원양성체제와 한국에의 시사점 - 일반계 중등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
- “유토피아”사회에서의 교육 -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싱가포르 초등의무교육의 도입 과정과 시사점
- 미국과 한국의 유치원 평가 준거 탐색
- 미국의 학교-일 이행지원정책(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경험과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천의 시사점
- 성인의 학습 수준 국제 비교 분석 - OECD국가를 중심으로 -
- 미국의 비판적 미디어 문해성 교육에 관한 고찰
- 대학평가발전을 위한 대학평가기구간 국제협력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