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경제발전전략에 따른 교육체제의 개혁 연구

이용수  96

영문명
A study on the China's Educational Reform Due to Economical Development Strategy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최영표(Choi young-py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111~12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은 사회주의를 건설하는데 있어 많은 곡절을 겪었다. 정치성을 우선하는 시대(紅)와 생산성을 우선하는 시대(專)가 주기적으로 교체되었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사회주의 건설의 중점이 변화함에 따라 교육체제가 어떻게 개혁되었는가 하는 것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와 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사회경제변화가 교육의 변화를 추동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중국의 사회가 계급투쟁 즉 紅우선의 방향으로 나아갈 때는 교육도 정치논리를 우선하여 계급투쟁의 관점에서 개혁을 수행하였으며, 생산성 향상을 꾀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는 교육도 실사구시 방침을 따라 전문성을 중시하는 개혁을 수행하였다. 둘째, 교육의 역할로 볼 때 교육은 당해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충실히 길러내는데 충실하였다. 중국은 형식상으로는 국가가 규정하고 있는 ‘사회주의적 인간을 길러낸다’는 목적을 건국 이후 변함없이 지켜오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시대별로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교육체제로 개혁함으로서 당해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양성에 충실하였다. 셋째, 교육개혁의 추진방법으로 보면, 紅우선의 시대에는 갈등적인 시각을 견지하였으며, 專우선의 시대에는 균형론적인 시각에서 개혁이 추진되었다.

영문 초록

China has experienced many vicissitudes while they were pursuing up socialism. Periods that political ideas preceded and on the other productivity was prefered have kept replacing each other cyclically.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how education system of China has been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prior idea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ocialism. Firs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riggered the reformation of education system from social transition and educational point of view. When Chinese society had preference for class warfare, and priority of red, their education system reformed following the direction in a view of class warfare. When they took productivity as the most significant idea, the reform of education system pursued the way that follows realism such as encouraging the importance of excellence in education. Second, for the role of education, the authorities devoted enough upbringing the human resource that society needs at each period. Chinese government has been maintaining the purpose; 'raising socialistic human', since the country was found. However, in fact, as they reformed the system to cultivate men of ability who fit the main idea of society at that time, Third, if we see reforming method, society took a discordant look in red most period and reform drove on the idea of balance in technocrat most period.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중국 경제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변화 추세
Ⅲ. 중국경제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체제의 개혁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표(Choi young-pyo). (2005).중국의 경제발전전략에 따른 교육체제의 개혁 연구. 비교교육연구, 15 (4), 111-127

MLA

최영표(Choi young-pyo). "중국의 경제발전전략에 따른 교육체제의 개혁 연구." 비교교육연구, 15.4(2005): 11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