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2 Student
이용수 130
- 영문명
- L2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현숙(Hyunsook Yoo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2 No.3, 91~1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has gained wide recogni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is argued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can facilitate fluency, naturalness, and effectiveness in L2 use. While collocation is by no means a recent topic in L2 pedagogy, the growing interest in corpus linguistics has brought to the for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However, although collocation is at the heart of the corpus approach, corpus use and collocation are often addressed separately in L2 research, and the link between the two is missing.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lin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rpus use on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shed some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L2 teaching. Data were collected in an ESL writing course during an academic quarter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corpus use helped to enhance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L2 writing and promoted their L2 learning. This paper concludes that collocation is an integral part of L2 proficiency, and thus, du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llocational field in L2 pedagogy.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s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Referne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칙 외
-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전략과 학습신념 비교 : 사례연구
- L2 Student
- An ESL Teacher
- 제2외국어와 교육과정 언어재료 제시 방안 연구 : 의사소통기능 예시문, 어휘 및 문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어휘 간섭 요인 박쥐말(Ⅱ)
- Content-based Instruction : Bridging the Gap Between What Students Can Do and What They Need to Do
- A Study on the Quality of Language in Text-Based CMC Tasks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일본과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의 파급과 영향을 중심으로
- EFL Learners
- 7차 초등영어 교재의 읽기 내용 분석
- 역사적 연구방법을 통한 현대 영어교육 형성기의 영어교과서 분석
- 영어 교재의 과제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연구
- Learning English in Korea from Learners
- 초등영어 전담교사 교실영어 분석
- 영어수동태학습에서 형태초점과 컴퓨터 매개학습의 장·단기 수준별 효과와 정의적 요인
- A Development of an Interpretation Course for EFL Undergraduate Students
- Multiple Voices at Play : How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Writers Experience CMC
-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 the U.S. : Challenges and Strateg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