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ployee s Privacy Protection on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Privacy Act
- 발행기관
- 한국인터넷법학회
- 저자명
- 박영철(Young Chul Park)
- 간행물 정보
- 『인터넷법연구』제3권 2호, 165~1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ederal Wiretap Act was enacted in 1968 in response to the Supreme Court s extension of Fourth Amendment protection to oral communications, including those by telephone, which were becoming increasingly easy to intercept. The act, however, only protected those communications that could be overheard by the ear. The statute thus seemed inapplicable to the new technology developing in the mid-1980s. In 1986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Privacy Act ( ECPA ) amended the Federal Wiretap Act, seeking to bring under it the latest in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ECPA is the only federal law currently applicable to the issue of workplace telephone, oral communication and e-mail monitoring. This Act generally prohibits the interception, disclosure or intentional use of wire, oral or electronic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And this Act established a privacy interests for parties to cellular telephone conversations, but created serious ambiguities as to the extent of protection afforded to e-mail and other emerging forms of communication. While the ECPA serves as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to electronic surveillance in the workplace, the U.S. and state constitutions, other statutes, and common law claim for invasion of privacy also limit employers rights to electronic surveillance in the workplace.
The Act provides two other defenses to employers. First, this Act does not apply if the employer has the consent of one party to the communication, Second, under the provider exemption, telephone companies and other employers that provide wire communication services may calls for service checks.
목차
Ⅰ. 서설
Ⅱ. 전자통신프라이버시법의 내용
Ⅲ. 근로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전자통신프라이버 시법의 적용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