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峯 奇大升의 敎育思想
이용수 17
- 영문명
- Kobong Kee Dae-Seung's Educational Though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정낙찬(Jung Nak-Cha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6집, 105~1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per is to study Kobong's educational thoughts as view point of human, education teleology, curriculum, education methodology, modem educational meaning. However, a small number of prominent scholars have tried to investigate Kobong's system of philosophy in their various ways. Therefore his thoughts much need for our educational situations, and his thoughts and practices on education must to deal with synthesis and analysis.
Kobong understood the human as the existence which is independent in creation development of space. He made bright the inside, outside deed apply the society by doing deed so that we are irreproachable in the education teleology that make a saint. The curriculum is composed of the Confucian classics, literature, history. The education methodology which is the complement relation of seong(誠), gyeung(敬), kyeogmulchigi(格物至知) is inclined theory the concern rather at the practice, Therefore his education method is active in the solution and reform of reality problem. Modern educational meanings are the education of harmony and human, life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the justice, the attention concent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인간관
Ⅲ. 교육목적론
Ⅳ. 교육과정론
Ⅴ. 교육방법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