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사의 고전문학 서술 양상
이용수 223
- 영문명
- The Aspects of Descri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안영훈(An Young-H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8집, 299~31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I studied on The Aspects of Descri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North Korea, it is common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written by groups of scholars not by individuals. That's because the policy of the Labor Party has an affect on its writing. The descrip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lso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policy.
Volumes one to six of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1990's deals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the objects of describing have been more widened compared to the histories of literature published in an early stage. This is attributed to Kim Jong-Il's The Theory of Chuche Literature insisting on the wide succession to the legacy of national culture. I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objects have been depicted more widely.
This shows that in North Korea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advanced well. Also we need correct understanding and analysis about culture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주체문학론』의 고전문화유산에 대한 시각
Ⅲ. 『조선문학사』의 고전문학 서술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