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홍젼>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Duhongjeo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진규(Kim Jin-Kyu)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6집, 135~1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summarise discussion so far, of which are as follow.
First, ‘DuhongJeon두홍젼’ was the only transcription in Korean and it was different from ‘DuhongJeon頭紅傳’, these two works have been confirmed transcribing by the same calligrapher. They were written at the end of 25th October in Im-in-nyeon. However when we thought of the contents ‘DuhongJeon頭紅傳’, they were written in 1902. The calligrapher were So, cha-chil, Hong, sik-il and they came from Kyung-sang-do province. When we consider they wrote Chinese character somewhat freely, we can analogize they were over intelligent people of middle class and they had a good knowledge of ancient novel.
Secondly, setting of time and space of ‘DuhongJeon’ were not incorrect so we can analogize them through contexts. They have retrieved flaws of setting with the ‘lay the secne’ which readers and main characters of works moved to huge space over the long time. Whole structure of works have an appearance which unify heroic stories and separation stories of family.
Thirdly, aim of meaning of DuhongJeon were understood as a recovery of family throughout correct human behaviour of mankind and public order of country and as a materialization of country’s idea.
목차
Ⅰ. 머리말
Ⅱ. 서지적 사항
Ⅲ. 구조적 성격
Ⅳ. 의미 지향: 倫紀실천을 통한 가문회복과 이상적 국가이념 구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 부산ㆍ경남지역 저항소설 연구
- 당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수용자의 취향 연구
-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 西浦 金萬重의 辭이론과 文彩이론의 비교 연구
- <두홍젼> 연구
- 북한 근ㆍ현대문학사 기술 체계와 분단극복을 위한 문학적 실천
- 燕岩小說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二重性과 그 意味
-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
- 현대 소설에 나타난 ‘간음’ 속죄의 양상 - <재생> <종각> <에덴의 후원>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