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iews of Marriage among Unmarried Graduate Women who are Contingent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경화(Kyong-Hwa Kim)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6집 제3호, 175~1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omen work worldwide, but with the labor market becoming more flexible, women are disproportionately employed in unskilled, low wage jobs. Korea's gendered labor market has been sustained and intensified through the contingent jobs of women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how contingent work circumstances influence the values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of graduate women in the labor for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 unmarried graduate workbag women aged 25-29 years One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more satisfaction graduate women feel about their work, they tend to retain and strengthen a 'traditional' view of marriage. A second key finding is that among women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work Situation, self-actualization is associated with viewing marriage as optional rather than necessary Based on these findings, we argue that if graduat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s restricted to increasing the quantity, a traditional gendered division of labor is reinforced. As such, unmarried graduate working women in Korea will retain and reproduce a patriarchal marriage system Gender inequality will persist unless continuous efforts are made and effective anti-discrimination strategies are institut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여성의 일과 결혼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Ⅳ. 성차별적 노동시장에 대한 인식과 좌절, 그리고 대응
Ⅴ. 차별적 노동시장의 경험과 결혼에 대한 태도
Ⅵ.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구논문] 삼ㆍ사십대 기혼 남녀의 성 각본에 대한 연구
- [연구논문]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일과 결혼 - 대졸 미혼여성을 중심으로 -
- [연구논문] 일ㆍ가족 역할의 보상/비용과 일ㆍ가족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
- [연구논문] 결혼준비교육프로그램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 [연구논문] 빈곤 여성가장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요인 고찰
- [연구논문] 영국 기업과 가족 친화적 정책
- [연구논문] 해방 이후 한국 부엌의 변화와 여성의 일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 [연구논문] 조기 사교육과 어머니의 역할 - 가족주의 가치관과 계층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