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동엽 시의 고향의식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Hometown Consciousness in Sindongyob's Poem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현정(Kim Hyeon-ju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5집, 303~3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sis focuses on the hometown consciousness in Sindongyob's poems. Up to now, there are many articles on the national poet or national poetry, while few articles on his hometown, Gumgang.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hip of hometown nation consciousness, analyzing the poems on his hometown that is an archtype and a base of his poem spirit.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his hometown consciousness contains the relationship of Gumgang, flowing around his hometown, and his native hometown, Chungnam Buyo closely. And his hometown consciousness makes us have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destroyed hometown at that time and a momentum that can overcome and improve the poor reality of his hometown. In this viewpoint, it is revealed that he uses our native language and chungchong dialects. In short, his hometown consciousness characterizes the hometown images, based on the perception re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tive poets at that tim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as a hometown and the nationality as a universal hometown.
목차
1. 들어가며
2. 부정의 ‘고향’과 근대
3. 상정(常情)의 ‘고향’과 탈근대
4. 확장된 ‘고향’과 민족의식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尤庵 宋時烈의 碑誌文 硏究
- 신동엽 시의 고향의식
- 谿谷 張維의 <送吳肅羽出牧驪州序> 考察
-
홍길동 서사의 서구적 변용 - 새 자료
의 가치와 의미 - - 제주방언의 시간 표현 구조 - '글지후제'의 형태변화 과정에 대해서-
- 소설과 영화의 관계 연구와 신-분류체계
- 매죽헌 성삼문 설화 고찰
- 한국시의 보들레르 이입과 수용 양상 - 미당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
- 국어 종결어미의 상보적 분포 특징
- 호남의 연희와 축제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 연구
- '맞다, 보다, 삼다, 얻다,' 의 공통의미
- 정진규 시에 나타난 에로스 지향성
- 사천 방언과 남해 방언의 /가ㆍ다/ 및 /나가ㆍ다/ 동사 굴곡형의 성조형 대조
- 河西 金麟厚의 <瀟灑園48詠> 硏究
- 역사소설 『무영탑』연구
- 마당극 <땅풀이>와 호주 원주민극 <브랜 누 대>의 탈식민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