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남 예산·당진 지역 의문문의 억양 분석과 문장 의미 해석
이용수 120
- 영문명
- An Analysis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Intonations in interrogative Sentences of Yesan and Dangjin Dialect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정원수(Jeong Won-so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2집, 251~2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intonations in interrogative sentences of Yesan and Dangjin dialect of Chungnam province. which shows very typical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 dialect.
I think that intonations are very important in diverse meanings of sentences in Yesan and Dangjin dialect.
We find that meanings of interrogative sentences are affected by prosodic informations and the sentential meaning can be changed by the speaker's thought and the intonation of sentence endings.
It is important that some special phenomenon is found in the dialect of Chungnam province: changes of meanings in sentences by the strengthening of deep tone structures and the weakening of surface tone structures.
There is a particular particle -yu (유) which makes very diverse boundary tones: LH%. H%. HL%
Intonation phrase boundary tone is very special in the questions of this dialect.
It is very tipical that the boundary tone of wh-question is a LH%.
It is very tipical that the boundary tone of yes/no-question is a H%.
It is very tipical that the boundary tone of affirmative question is a HL%.
Finally, K-ToBI convention can be reformed for the good description of sentences of the Chungnam dialect.
목차
1. 서론
2. K-ToBI 규약과 문장의 운율 기술
3. 의문문의 운율 분석과 의미 해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향찰 '執音-'과 '火條'의 해독
- 충남 예산·당진 지역 의문문의 억양 분석과 문장 의미 해석
- 표현 어휘의 교육 방법 연구
- 문학교육의 위상 정립
- 대전·충남 지역의 언어적 특징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1)-‘구개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 《樸素村話》 所載 奴婢談 硏究
- 水山의 <廣寒樓記>를 통해 본 知識層의 小說論
- 韓·中 詩經論의 問題點과 再認識-楚簡本 『詩經』 關聯資料에 根據하여
- 박상륭 소설의 상징성 연구
- 구비설화에 나타난 도깨비의 정체성 고찰-충청지역 구비설화를 대상으로-
- 최태응 소설에 나타난 전후(戰後) 인식-전후(戰後) 미발굴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소설의 호명 연구를 위한 방법론 검토
- 북한 여성 정체성의 소설적 형상화-2000년대 북한 소설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