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順庵 安鼎福 文學의 一考察: '詩'와 '傳'을 중심으로
이용수 53
- 영문명
- Study on Literatures of Soon-am An. Jeong-bok: Focused on his Poetry and Pros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최준하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3집, 501~5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as in the turmoil. The central idea in that period was realism. Soon-am An, Jeong-bok, had written many kinds of history books as a realist. Also, He wrote lots of literary works.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his literary world by analyzing An's poetry and prose. Followings are results of analysis.
First, Soon -am left some mor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works than literary works.
Second, although there are various works in his collection, the works have not been studied and not arranged yet.
Third, as a property of his poetry, we can perceive that his main theme was academic pursuit, patriotism and vanity of life.
Fourth, he chose very unique subject like a woman's cosmetics in his prose.
Fifth, his works are focused on the realistic expression.
목차
順庵 安鼎福 文學의 一考察: '詩'와 '傳'을 중심으로
1. 서론
2. 순암의 생애와 사상
3. 순암문학의 고찰
4. 순암문학의 문학사적 가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숙향전>의 공간 구성 원리와 의미
- 福川 李太守作 <望美人歌>의 主題形象化 考察
- '80년대 해체시와 아버지 살해 욕망: 황지우, 박남철, 장정일의 시를 중심으로
- 『남한강』의 역사의식과 계급의식 연구
- 근현대 대전·충남지역의 한문학
- 디지털 서사체의 미학적 구조(2): '전자 종이'로서의 인터넷 게시판의 문학적 가능성
- 조선후기 金盛達 가문 여성문인들의 시 세계
- 順庵 安鼎福 文學의 一考察: '詩'와 '傳'을 중심으로
- 규범과 현실 사이의 거리 좁히기: 국어 어휘 빈도 조사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천안방언의 모음상승에 대하여(1)
- <쌍화점>의 내외 공간과 화자의 이중성 고찰
- 申從濩의 生涯 및 『高靈世稿』의 內容과 體制 考察
- 어간말 자음군의 결측자료 연구
- 小華詩評 李栗谷 文段의 內容 辨正
- 전남 서사민요의 연행방식 연구
- 이문구 소설의 방언 연구: 모음 현상을 중심으로
- 一然이 編述한 <薯童譚>의 誤述에 對한 考察
- <춘향가>의 후대적 변이와 의미: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 울진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 사찰문헌설화에 나타난 소설담론성 연구
- 漢詩文에 受容된 벼루의 樣相과 意味
- 지명어에 나타난 잘못 돌이킴 현상에 대하여: 구개음화와 관련하여
- 淵齋 宋秉璿의 學脈과 作品世界
- 북한 문화어의 사·피동사 연구(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