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단전 호흡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
이용수 498
- 영문명
- Does Navel Breathing Meditation Help Improve Self-Control?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고형일(Koh Hyung-Yeel) 김학인(Kim Hak-In) 최석만(Choi Suk-Ma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21집,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법무부의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향상하기 위한 호흡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들과 임상경험을 기초로 해서 단전을 중심으로 한 호흡명상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복식호흡과 단전찾기, 단전호흡 기체조 25동작 익히기, 눕고, 앉고, 선 상태에서 단전호흡하기, 가부좌에서 호흡에 마음을 집중하기, 걷는 동작에 마음 집중하기, 안이비설신(眼耳鼻舌身)에 나타나는 느낌과 생각 관찰하기, 마음 들여다보기, 마음 바꾸기 등이다. 둘째 단계에서는 16명의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에게 한 주에 3시간씩 총 10주 동안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광도(2001)가 개발한 자기통제력 척도를 본 연구에 적절하게 수정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그리고 5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반복측정 변량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자기통제력의 8가지 하위영역 중 공격성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전호흡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있음을 시사한다. 또 매주 프로그램이 실시된 직후, 대상학생들은 자기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를 분석해 보면 그들의 마음은 안정되고 편안함을 느끼는 빈도가 회기가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었으며 집중력과 인내심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종결된 5개월 후에도 단전호흡명상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지각한 학생이 전체의 63%를 차지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possible ways of determin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navel breathing meditation and self-control. As subjects, it acquired twenty secondary students on probation without previous training in navel breathing training. Sixteen of the subjects were taught naval breathing meditation ten times; the rest dropped out. The study examined how the group improved in selfcontrol scores.
The results are, of course, not sufficient for determining the aforementioned causal relationships, yet they are sufficient to suggest that such relationships indeed exist.
They also suggest as to what to look for and how in future studies.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