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ynergistic Potential of Combining Open-and Closed-Ended Survey Items on EFL Education Research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Synergistic Potential of Combining Open-and Closed-Ended Survey Items on EFL Educ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Kil-Joo Woo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9권 제2호, 211~2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points. One, to date, in EF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survey studies have had a strong tendency to utilize closed-ended items while excluding or under-utilizing open-ended ones. Two, in the light of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it is argued that combining open-ended items and closed-ended ones in surveys has the potential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on EF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The paper presents background information pertinent to the issues, focusing on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problematic survey items taken from actual studies. Suggestions are made for ways to improve the methodological design of surveys by combining the two types of survey items. A summary offers a synthesis of the issue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Focusing on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problematic survey items
Ⅲ. The Synergistic Potential of Combining Open-and Closed-Ended Survey Items
Ⅳ. Conclusion
Refere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육대학생과 초등교사의 영어단어의 이해 가능한 발음
- 제7차 교육과정 초등영어 3,4학년 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제7차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문을 중심으로
- 내용중심 초등영어 교육에서의 학습전략 훈련 프로그램
- Basic English vs Academic English Proficiency: A Case Study of Two Korean Children
- The Synergistic Potential of Combining Open-and Closed-Ended Survey Items on EFL Education Research
- 조기영어교육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효과-3학년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 엉어심화과정 교육과정 개선 연구
- The Effectiveness of Language Learning Based on the Knowledge Structure Framework
- 초등영어 수행평가 루브릭의 개발과 적용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