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체중군과 과다체중군 산업장 중간관리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Industrial Middle Manager with Normal and Over Weight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정남(Kim Chung Nam) 박경민(Park Kyung Min) 류미경(Ryu Mi Kyung) 장희정(Jang Hee Jung)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5권 제1호, 59~7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Normal and Over weight industrial middle manager.
The subjects were 163 workers employed in factories in Taegu and Kyung-book were convenient sampling data the period for May 22th-26th, 2000 through self report methodby structu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x2, Kendal tau,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ift pattern(x2=7.89, P=0.005) and career.
(x2=12.99, P=0.005) betwee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
2. The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overweight group(2.55)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group(2.46), but not significant.
3. The average score of health status in overweight group(3.07)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group(3.21), but not significant.
4.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in overweight group(3.63) was significant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3.71).
5. The average score of the perceived barrier of in overweight group(2.44)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2.24).
6.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status(r=.384, P<.05), health Concept(r= 458, P<.01) self-efficacy ( r=352, P< 01), perceived benefit(r=.386, P< .05), perceived barrier(r= -245, P< .05)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normal 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concept( r= .307, P< .050 and perceived benefit.
7.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that have an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Normal weight group, health concept and perceived benefit account for 28.8%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verweight group. The perceived benefit account for 13.7%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1. It is required to develop health promoting program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dition, there are special demands on developing nursing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verweight industrial supervisors.
2. It is necessary to support exercise facility in occupational field for improving supervisor's health promoting behavior.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성 투석환자의 성기능 장애
- 발간사
- 남자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경험 연구
- 일 대학병원 낮번, 초번 간호사의 업무분석
- 신장수혜자의 간호문제와 관리에 관한 고찰
- 정상체중군과 과다체중군 산업장 중간관리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비교연구
-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건강지각의 관계
- 일 종합병원 밤번 간호사들의 간호활동 분석
- 관상동맥질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고찰
- 노인보건의료서비스 제공방안
-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간호업무수행의 관계
- 일 대학병원 수간호사, 책임간호사의 업무분석
- 여대생의 체중조절 인식과 경험실태
- 노인건강을 위한 간호중재로서의 회상요법
-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Focus group method)에 대한 고찰
- 가정간호요구 조사: 환자·간호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