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 수치심과 죄책감

이용수  1,338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Moral Emotions : Shame and Guilt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저자명
유경(Ryu Kyung) 민경환(Min Kyung-Hwan)
간행물 정보
『심리과학』제11권 제1호, 53~6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치심, 죄책감과 같은 도덕적 정서들이 사회적 규범 습득과 도덕적 행동을 유발시키고, 부적절한 행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며, 도덕적 가치에 대한 사고와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입장에서 새로운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서 중 수치심과 죄책감을 비교한 연구들을 개관함으로써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개념적, 현상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아동기 동안 죄책감과 수치심 이해의 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 도덕적 정서 스타일 형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차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죄책감과 수치심 개념 구분의 타당성과 아동의 사회 문화적 규범 습득과 적용에 있어서 도덕적 정서가 갖는 함의에 관해 논의했다.

영문 초록

Shame and guilt are human emotions that serve important functions. They are "self-conscious" and "moral" emotions: self-conscious in that they involve the self evaluating and moral in that they play a key role in fostering mor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about shame and guilt.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shame and guilt. In addition, we conside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emotional style. Finally,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of moral emotion researches were discussed.

목차

도덕적 정서 : 수치심과 죄책감
수치심과 죄책감 경험에 대한 이해의 발달
도덕적 정서 스타일에서의 개인차
도덕적 정서 스타일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Ryu Kyung),민경환(Min Kyung-Hwan). (2002).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 수치심과 죄책감. 심리과학, 11 (1), 53-69

MLA

유경(Ryu Kyung),민경환(Min Kyung-Hwan).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 수치심과 죄책감." 심리과학, 11.1(2002): 5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