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3 주제] 전통 음청류의 산업화 현황과 전망
이용수 162
- 영문명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백운화
- 간행물 정보
- 『인제식품과학 FORUM 논총』제4회, 75~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4.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의 전통 음청류중 최근 식혜의 성공적인 상품화로 단일 품목으로 95년 약 2,5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였고 국산차류, 수정과, 미식류(米食類)등이 캔음료 및 분말, 액상 제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음청류의 산업화는 국내 전반의 산업계와 비교시 아직 초기 도입 단계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품으로의 개발 및 신수요 창출의 여지는 많은 상황이다. 전통 음청류는 문헌상에 193 가지의 명칭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우리것을 아끼고 발전 시키려는 사회 전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대적인 산업화 개념을 도입한 상품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산업화는 제품의 대량 생산 및 품질 균일화에 따른 안정적인 대소비자 공급 구조를 갖추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산업화를 추구하는 과정에 있어 기업의 활동은 필수적이며 산업화를 이룰 수 있는 전통 음청류의 확대가 요구된다. 우선 전통 음청류를 잘 분류하여 시장 진입시 성공 할 수 있는 품목을 다양하게 선정하고 이들 품목에 대한 전통의 맛, 제법등을 잘 정리하여 산업화의 기본 자료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전통 제조 방법의 기본 틀을 고수하되 이를 과학화하여 현대적 감각에 맞게끔 맛과 품질을 보완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경우 전통과 현대의 개념의 조화가 요구되며 산업화를 위하여는 공업적 규모의 생산 체계와 상품의 유통 구조도 확립되어야 한다. 전통 음청류 뿐 아니고 전통 식품 전체의 산업은 아직 서양식 식품의 산업에 비하여 그 규모나 기술이 열세인 것은 틀림 없다. 전통 식품은 우리의 생활을 통하여 전래되는 하나의 역사적 유물이다. 전통 음청류도 이를 과학적으로 잘 분석, 해석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마켓팅 기법을 도입하고 제조 기술도 현대적인 식품 가공 기술과 접목시키면 세계적으로도 호평 받을 수 있는 상품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ndustr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has taken off. Last year, rice nectar(Shikhye), one of the most successful items. sold about 250 billion won in the market as a single item. Other Korean teas, such as sweet cinnamon punch and dried cereal powders were consumed as either powdered form or liquid form in many types of containers. Since industrialization of traditional beverages has great room for being developed in comparison to other industrialized products, there is big possibility to develop and launch more commercialized traditional beverages. In the literatures, we could find 193 names of traditional beverages and most of those items could be rearranged as modern products. Industrialization of beverages is based on plant scale mass production, quality assurance, and supplying to consumers. For industrialization, first of all, traditional beverages should be carefully categorized to find possible hit products and then, detail information for traditional taste, and manufacturing methods should be collected. The method of production would be carefully set based upon the traditional method. In this case, modern and traditional taste should be compatibility harmonized. Also, industrialization required a large scale production line, and a distribution system of commercial products. It is true that not only traditional beverages but also traditional foods have less developed and shared small portion of market volume than these of western food industries. Traditional foods are one of the most essential heritages in our life. Therefore, traditional beverages can be world-wide products, if there are well understood and collaborated with modern food technology and marketing skills.
목차
Abstract
1. 전통식품의 개념과 산업화
2. 전통 음청류의 종류
3. 산업화된 음청류
4. 산업화 전망 및 결언
5.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