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2 주제] 전통음청류의 과학적 고찰
이용수 116
- 영문명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 저자명
- 한억
- 간행물 정보
- 『인제식품과학 FORUM 논총』제4회, 31~6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4.0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소고에서는 최근에 보고된 한국 전통음청류의 과학적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한국 전통음청류는 가공방법이나 품질특성에 따라서 12개 분야로 나누는데 이를 다시 현재의 이용도 측면에서 재조명하면 3개 분야로 대별할 수 있다. 즉 차류 분야, 식혜류 분야 및 즙류 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용출형 음료, 숙성형 음료 그리고 착즙형 음료 형태로 특징지울 수 있다.
차류분야에서는 녹차를 중심으로한 순다류의 항암효과와 항돌연변이의 효과가 인정되고 있으며, 향약재, 곡물 및 과실을 중심으로한 유사다류의 가공 조건 확립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적 제조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제반 볶음조건을 통한 향미개선, 입자의 분산성 증진 그리고 경제적인 공정설정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당화음료인 식혜의 경우는 산업화의 획기적인 성공 사례로 기록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즙류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나 향후 전통음료의 다양화 측면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지적된다. 끝으로 전통음료의 가공변형에는 충분한 과학적 배경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cientific research results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published in the literatures recently were reviewed and evalua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were classified into 12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cessing metho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Nowadays. however,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3 groups by its meaning in the modern setting: tea group by extracting, Shikhe group by aging, and Jeub group by squeezing. The total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reaches approximately 200.
It is distinguished by the development of tea and tea analog such as cereal and fruit based beverages, Sungnyung (rice tea), roasted cereal powder, Shikhe (malt saccharified rice beverages), and fruits drink. There is also a strong distinction among Korean beverages. Therefore processing methods are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beverages items. The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such as green tea is also nutritionally and physiologically sound. The taste and flavor of different beverages is greatly influenced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conditions. More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quality requir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processing methods.
목차
Abstract
1. 서론
2. 분류상 특징
3. 차류 분야
4. 식혜류 분야
5. 즙류 분야
6. 과제 및 전망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