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민가>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정치철학
이용수 247
- 영문명
- The Way of Narrative and Political Philosophy i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엄국현(Eom Kook-H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1집, 77~1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nterpretation of , a song which comforts the people has been studied without considering the original text since Sinpei Ogura's research. But if we study the original , we can know the new facts about the poem, especially it‘s way of narrative and political philosophy.
In , there are many rhetorical techniques and religious thoughts. The techniques and thoughts are correlative. They are direct narration, repetition of causal sentence which reflects the causationism of Buddhism and metaphor which compares king and subject and people to father and mother and child, which is quoted from Confucian ideas.
The rhetoric and way of narrative in has the purpose to persuade the king. So the message was not based on the new thought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on the fundamental thought of them. It is believed that the poet shared the idea with the king.
목차
Ⅰ. 머리말
Ⅱ. <안민가>의 해독
Ⅲ. <안민가>의 서술방식과 정치철학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본풀이와 구비영웅서사시 비교론, 그 두 측면 - <게사르(格薩爾)>, <므윈도(Mwindo)>, <문국성본풀이>, <가믄장아기본풀이>를 중심으로
- <삼강문>의 구성방식과 작가의식
- 근대전환기 패설의 존재양상 - 1910~1920년대 패설집을 중심으로
- <유효공선행록>이 보이는 유연 형상화의 두 양상
- 한국 최초의 근대 자전 『國漢文新玉篇』의 편찬 동기
- 소대성전 창작 원리의 불교사상적 연구
- <안민가>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정치철학
- 한국문학회 회칙 외
- 通信使 往來를 通한 韓日 文化交流
- 국민보도연맹시기 정지용의 시 연구
- 金鐘漢과 金素雲의 정지용 시 번역에 대하여 - 『雪白集』(1943)과 『朝鮮詩集』(1943)을 중심으로
- 황석영 초기 소설 연구 - <가화>, <탑>, <돌아온 사람>을 중심으로
- ‘동포’의 수사학과 ‘역사’의 감각 - 1900~04년 ‘동포’ 개념의 추이
- 18,9세기 한일양국의 명청소품문 수용에 대한 비교연구
- 192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유학 체험과 근대적 특성 -『읍혈조(泣血鳥)』와 『珍珠는 주엇스나』를 중심으로
- 작중인물의 성격학적 비교 연구 - <標本室의 靑개구리>와 <狂炎소나타>를 중심으로 -
- 고전소설 텍스트 연구 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