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 발굴 『燕巖先生書簡帖』의 자료적 가치 - 附 : 『연암선생서간첩』 원문 및 역주 -
이용수 474
- 영문명
- The value, as a data, of
found newl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정민(Jung Min)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2집, 311~34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 『연암집』을 간행했던 박영철이 기증한 서울대 박물관 소장의 『연암선생서간첩(燕巖先生書簡帖)』에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편지 30통이 실려 있다. 60세와 61세 때 안의와 면천에서 벼슬 살면서 집으로 보낸 편지가 대부분이다.
이 편지 글 속에는 문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던 연암의 인간적 면모가 두드러진다. 직접 고추장을 담가 집에 보내기도 하고, 자식의 잘못을 나무라거나 손주의 출생을 기뻐하는 소탈한 모습이 담겨 있다. 이밖에 지방관의 고충, 질병의 고통을 호소하거나, 집안의 대소사에 대한 염려도 보인다.
이밖에 왕명에 따라 <서이방익사(書李邦翼事)>와 <형암행장(炯菴行狀)> 등의 글을 짓던 전후의 정황도 자세히 살펴볼 수가 있다. 『아동기년(我東紀秊)』 2권과 『박씨가훈(朴氏家訓)』 1권을 저술한 내용도 있다. 또 박제가 유득공 등에 대한 인물평과 연암 주변 인물에 대한 이런 저런 정보와 도 접할 수 있다.
서간문이 보여주는 문예미도 빼놓을 수 없다. 이 자료가 새롭게 발굴되어, 원문과 함께 번역 소개됨으로써 연암 문학의 저변이 넓어지고, 인간 이해의 폭이 훨씬 더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ains the value, as a data, of the letter writings of Yeon-Am Ji-Won, Park, kept in Muse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letter writings of Ji-Won, Park(1737~1805) contains 30 letters not published so far. He wrote them to his home when was a public servant, in 60 and 61 years of age, alone at AnWee and MyeonCh'un.
As one of greatest Korean writers, Yeon-Am shows us his human aspects in these letters which we can't read in any other writings. He made hot-pepper for his son by himself and dispatched it and also reproached seriously the small mistakes of his son. He didn't hide his great joy when his grandson was born. He expressed his personal troubles in works as a local public servant and his pains by his sickness.
In these letters, we can read the story of Bang-Ik, Lee who wandered in the sea, survived and returned from China, and the very details of building of a traveler's equipment for his friend, Duk-Mu, Lee. One of good fruits is that we can understand the political position of his. And more, we can read his frank ideas about his close poeple, Je-Ka, Park and Deuk-Kong, Lyoo.
His letters are very excellent in terms of arts and the beauty of literary art. Yeon-Am's literature can be spread and read widely, and also we can get the wide understanding of huma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ranslating the original letters together with the genuine letters themselv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서간첩의 수습경과와 내용
Ⅲ. 서간첩을 통해본 연암의 몇 면모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漢文敎育科 創立 30周年 回顧와 展望
-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의 反省과 展望
- 『燕巖先生書簡帖)』脫草 원문 및 역주
- 大學 敎養 漢文敎育의 現況과 課題 - 대구ㆍ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 새 발굴 『燕巖先生書簡帖』의 자료적 가치 - 附 : 『연암선생서간첩』 원문 및 역주 -
- 李德懋 文學의 形成背景에 대하여 - 公安派 受容과 관련하여 -
- 陶厓 洪錫謨의 생애와 시세계
- 조선조 野史의 전개와 『寒皐觀外史』의 위상
- 한국 서예의 독창성 탐색과 세계화 전략 - 전라북도 주관 「세계서예 전북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
-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 - 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
- 대학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
- 中學校 漢文敎育의 變遷과 展望
- 한국한문학 연구의 몇 가지 과제
- 泰東古典硏究所와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의 漢文敎育과 그 意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