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Sense of Place in Residential Accommodation and Supportive Housing for Disabled People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조문순(Moonsoon Cho) 이동석(Dongsuk Lee)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77집,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탈시설하여 지원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장애인거주시설과 지원주택에서의 장소감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과 지원주택 모두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 9명을 선정하였고, 개인별로 3회씩 심층면접을 하였다. 면접 내용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3개의 주제와 8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고립의 장소에서 연결의 장소로’, ‘통제된 안전에서 관계적 애착과 제약의 장소로’, ‘객체적 장소정체성에서 주체적 장소정체성으로’로 나타났다. 결국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지원주택으로 장소를 변경함에 따라 관리된 장소감에서 주체적이고 도전적인 장소감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런 장소감의 변화는 장애인을 안전에만 머무르지 않게 하고 인간주체성을 회복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탈시설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지원주택에서 물리적 편의시설의 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형성의 어려움이 나타났기 때문에 편의시설 확충, 시민옹호와 같은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residential accommodation and supportive housing for disabled peopl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ho have moved out of residential accommodation for disabled people and are living in supportive housing. To this end, nine participants who have lived in both residential accommodation and supportive housing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for each individual.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themes and eight subthemes were derived. The three themes were ‘from a place of isolation to a place of connection’, ‘from controlled safety to an environment of relational attachment and constraints’, and ‘from objective place identity to subjective place identity’. Ultimately, as the location changed from the residential accommodation to the supportive housing, the sense of place changed from a managed sense of place to a subjective and challenging sense of place. This change in sense of place shows the effect of deinstitutionalization in that it does not allow disabled people only to remain in safety and restores their human subjectivity. Nevertheless, since there was a lack of physical convenience facilities and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local community in supportive housing, support such as the expans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citizen advocacy needs to be strengthened.
목차
Ⅰ. 서론
Ⅱ. 장소감과 장애인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유아교육연구
- 존재론연구
- 윤리연구
- 민주법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사회서비스연구
- 한국과 국제사회
- 한국간호과학회지
- 보건복지포럼
- 사회과교육연구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심리운동연구
- 지적장애연구
- 국토계획
- 한국장애인복지학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사회복지정책
- 공간과 사회
- 발달장애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 보건복지포럼
- 사회복지법제연구
- 사회과학리뷰
- 한국장애인복지학
- 글로벌사회복지연구
- 문화콘텐츠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대한부동산학회지
- 기억과 전망
- 장애인복지연구
- 노동법논총
- 사회법연구
- 사회법연구
- 탐라문화
- 법학논집
- 장애인복지연구
- 도시연구
- 한국초등교육
- Area
- Housing Studies
- Geographical Review
- Educational researcher
- Emotion, Space and Society
- Society & Natural Resourc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