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rious implications of “Wang” and “Guk” in North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권오영(Ohyoung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127호, 5~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5

국문 초록
중국의 한자문화에서 기원한 國과 王이란 용어는 사회가 변화하면서, 그리고 지역과 사용집단 에따라매우다양한함의를갖게된다. 따라서한국고대사연구에서국, 국가, 왕, 대왕이란용어 를 고정적으로 이해하면 곤란하고 이러한 용어를 기록한 사서의 성격, 고고학적 물질자료의 맥락 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As society changes, the terms “guk” and “wang,” which originated from Chinese character culture, have a wide variety of implications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group of use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rms “guk,” “gukga,” “king,” and “wang” in a fixed manner in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ian who recorded these terms and the context of archaeological material must be fully considered.
목차
Ⅰ. 머리말
Ⅱ. 王과 大王
Ⅲ. 國과 國家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