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청년의 자기 접촉을 위한 내면아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Inner Child Therapy for Self-Contact of young men who experienced Emotional Negligence
발행기관
한국인형치료학회
저자명
안정미 최광현
간행물 정보
『인형치료연구』제11권 제2호, 67~8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청년들의 만성적인 불안을 살펴보고, 자기와의 내면적인 유대감 형성을 위한 내면아이치료 사례연구이다. 만성적 불안 증상과 함께 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4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자기와의 접촉을 가져오고 내면적 유대감 형성을 돕기 위해 인형치료를 활용한 내면아이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치료를 활용한 내면아이치료를 통해 참여자가 자신을 이해하고, 자아의 힘을 찾고, 정서적 독립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하였다. 궁극적으로 자신에게 초점으로 두는 정서적(감정적) 분리는 다른 사람들과 더욱 견실한 연결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내면아이치료는 자신을 이해하고 현실을 인식하며, 과거와 현재를 분리하여,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하게 되며, 의식의 변화와 함께 자신과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에서 본연의 나를 찾아가며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하도록 도왔다. 결과적으로, 내면아이치료는 외부로 향해있던 참여자들의 시선을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게 하여 자기접촉을 가져왔으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자아를 부드럽게 변하게 하였다. 이에 본 사례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은 자기와의 새로운 관계 구축을 통해 내면적인 갈등이 사라지면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신과 사랑을 주고받는 자기가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드러나지 않는 부재한 속성을 가진 정서적 방임, 즉 어린 시절에 일어나지 않은 것, 기억하지 못하는 것들, 그렇지만 여전히 현재 고통을 주고 있는 것들인 숨겨진 문제에 대한 해결을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면을 만나는 인형치료로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inner child therapy case study to investigate chronic anxiety of young men who experienced emotional neglect in childhood and to build their inner bonds. In order to bring self-contact to four participants suffering from relationship difficulties along with chronic anxiety symptoms and to help build an inner bond, inner child therapy using figure therapy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inner child therapy using figure therapy, participants understood themselves, sought self-power, and recognized the need for emotional independence. Ultimately, the emotional separation that focuses on oneself has helped to make more solid connections with others. Second, inner child therapy understands oneself, recognizes reality, separates the past and the present, accepts oneself as it is, and helps form a positive self-image by finding the true self in relationships with oneself, family,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along with changes in consciousness. In conclusion, inner child therapy brought about self-contact by directing the eyes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directed to the outside toward their inner self, seeing themselves as they were, acknowledging and accepting themselves as they were, and changing the self smoothly. As a result, the young men who participated in this case study were able to heal their past wounds and exchange love with themselves as their inner conflicts disappea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w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emotional neglect with hidden attributes, that is, solving hidden problems that did not occur in childhood, things that cannot be remembered, but still cause pain, as figure therapy that meets the inside by consciousl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정미,최광현. (2025).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청년의 자기 접촉을 위한 내면아이치료 사례연구. 인형치료연구, 11 (2), 67-89

MLA

안정미,최광현.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청년의 자기 접촉을 위한 내면아이치료 사례연구." 인형치료연구, 11.2(2025): 6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