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구 특성 및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주관적 평가가 후속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Mothers’ Subjective Evaluations of Household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Subsequent Fertility Intention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손승희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1권 제4호, 147~1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thers’ subjective evaluations of household and community conditions predict fertility intentions beyond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wo-parent, co-resident Korean families where the mother is the primary caregiver.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nel. Key predictors include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household income,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perceived childcare availability. Control variables were parental age, parity, maternal employment, and fathers’ occupation.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whether subjective evaluations predicted fertility intentions after accoun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Results: Fertility intentions were lower among older parents and those with higher parity but higher when fathers held non-manual occupations. Household incom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ertility intentions. Mothers’ perceived socioeconomic stand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s. Perceived childcare availability showed a bivariate association but became non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Conclusion/Implications: Perceived socioeconomic standing—rather than objective income—emerged as the most salient household correlate of mothers’ fertility intentions, alongside age, parity, and fathers’ occupation. Policy efforts that enhance perceived economic security, improve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expand accessible childcare systems may be more effective in supporting additional childbearing than income-focused approaches.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개방적 놀이재료의 교육적 의미: 1세 반 영아의 경험을 중심으로
- MZ세대 보육교사의 갈등관리전략이 조직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아버지의 위험감수놀이 허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놀이참여 태도의 매개효과
- 가구 특성 및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주관적 평가가 후속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