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화를 원작으로 한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몽타주 비교연구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a Montage of Two Version: a Film Version of a Storybook and It s Animation Version -Focusing on the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황정식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8호, 67~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화는 많은 장르(genre)에 걸쳐 만들어지면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림동화에서 시작하여 연극(play), 영화(film), 애니메이션(animation), 뮤지컬(musical) 등의 또 다른 장르로 재탄생을 거듭하여 왔으며 그중에서도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은 서로 비슷한 장르적 특징에 의한 공통점들이 많다. 어떠한 영화를 분석함에 있어 몽타주 분석은 기본적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서사, 이론가, 감독의 사상을 나타내는 몽타주 분석과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에 대한 내용들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애니메이션의 입장에서 소설보다 애니메이션적인 요소가 많은 동화를 연작으로 하며 만들어진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 중 어느 장르가 더욱 효과적인 몽타주 기법을 만들어 내는지를 비교 분석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잔-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Jeanne-Marie Leprince de Beaumont)의 원작 동화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각기 다른 장르의 두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첫 번째 작품은 장 콕도(Jean Cocteau)가 각색과 감독을 맡은 실사영화 작품으로, 원작 내용에 풍자적인 수법과 초현실주의(surrealism)적인 표현을 통해 원작동화에 나타난 회화적인 몽타주를 시각적으로 재현한 작품이며, 두 번째 작품은 회화적인 몽타주 기법을 통해 디즈니사가 만든 애니메이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영화 이론에 근거한 몽타주 이론의 고찰과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 상 서로 다른 두 매체의 특징을 시각적인 재현 방식과 기술적 차이로 분리하고,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서로 다른 이미지의 기록과 재현방식에서 비롯된 제작기술의 차이가 두 작품의 몽타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어떠한 몽타주 형태로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어느 장르의 작품이 원작 동화보다 효과적인 감도으이 몽타주를 만들었는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전체 시간의 내러티브(narrative) 구조(structure)의 분석틀 위에서 각각의 시퀀스(sequence), 씬(scene), 쇼트(shot)를 나눈 다음 쇼트 내의 몽타주, 쇼트와 쇼트의 연결과 배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작품에 나타난 몽타주 이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몽타주 비교 분석을 위해 서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간의 갈등(conflict)에 초점을 맞추어 갈등의 발전, 위기, 절정 결말 부분에 나타난 몽타주 기법을 비교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의 몽타주 기법이 실사영화보다 등장 인물간의 갈등을 보다 효과적이고 계획된 몽타주 기법으로 표현하여 극적인 감동을 만들어 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2. 연구대상 및 작품선정 이유
	                       
	                          3. 두 작품의 몽타주 비교 분석
	                       
	                          4. 클라이맥스를 위한 갈등의 몽타주 비교 분석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 동화를 원작으로 한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몽타주 비교연구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 디지털 3D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언어로서의 조명연출에 관한 연구- 작품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국내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영화제작의 실제와 그 전망-장편 디지털 극영화 [사랑은 쉬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피터 그린어웨이(Peter Greenaway) 감독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The Cook, The Thief, His Wife, and Her Lover)]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