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3D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언어로서의 조명연출에 관한 연구- 작품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Research on Lighting as Visual Language in Digital 3D Animations-Focusing on and -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오혜영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8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에서 조명은 기술이며 예술이다. 실사 영화에서는 대본을 연습한 배우가 세트의 분위기와 조명에 의해 연출된 공간에서 극의 분위기에 충실하게 일관성 있는 캐릭터의 창출과 작품의 완성도에 기여하게 되지만, 3D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는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각자가 맡은 부분에서 배우들을 연기시키고, 조명을 세팅하여 장면을 생산해 내고 있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영상 연출, 조명 연출의 정책은 전 제작 스태프들이 공유되어 제작 전 과정에 적용되어야만 작품의 영상 예술로서의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1970년대 이후 예술 영화들을 중심으로 조명의 일반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이 영상언어로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영화 제작 전통이 디지털 제작 기술과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미국의 대표적인 3D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의 두 작품, 드림웍스 PDI(Dream Works & PDI)의 <슈렉>(Shrek)과 월트 디즈니 픽사(Walt Disney & Pixar)의 <몬스터 주식회사>(Monsters, Inc.)의 각 장면들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서 조명 연출(디자인)은 이 모든 것을 한데 묶어서 응집력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내거나, 전혀 반대되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영상언어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영화의 속성과 조명의 속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3D 애니메이션의 연출파트 즉, 총감독, 미술감독, 기술감독의 상업적 예술성 확보를 위한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Since the beginning of movie making, people have been looking for blue skies. This is because only natural light could be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However, nowadays, all you need is one computer to create a simulated reality and light source. Realistic space can be created and imaginative reality can be intentionally made. The era of digital animation has come, and the intents of a director can be materialized through mechanical manipulation of lighting. This study analyzed art movies dating from the 1970s to see into the general functions of lighting and how psychological factors are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Furthermore, famous movies of the 2 most distinguished US animation production studios, Dream Works & PDI’s and Walt Disney & Pixar’s , were analyzed to see how movie making traditions and digital production techniques are integrated. Through this study, all factors, such as stage equipment, costumes, acting, stage, background music, weather, time, and lighting,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the overall mood and dramatic effects of movies. Especially, lighting showed its significance as a visual language device in creating cohesive moods or providing opposite. Unlike film movies, digital 3D animations, considering its need for staff to do the acting of characters and lighting, need a systematic production structure, which employs on main director with supporting art director and technical director. Also, this study found that cohesive lighting and color polices must be shared applied in all steps of the production. This study tries to extend the technical views of 3D animation directors to artistic views, and proved that lighting is a very important dramatic factor in enticing the emotion of the audience. The present study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3D animation directors, such as the main, art, and technical director, in guaranteeing the commercial and artistic qualities of a movi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에서의 조명 연출 사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혜영. (2006).디지털 3D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언어로서의 조명연출에 관한 연구- 작품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 1-18

MLA

오혜영. "디지털 3D 애니메이션에서 영상언어로서의 조명연출에 관한 연구- 작품 <슈렉>과 <몬스터 주식회사>를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2006):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