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험영화 <50 피트의 실끈>에 나타난 일상의 영화적 구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Cinematic Construction on Everyday Life in <50 feet of String>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장민용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5호, 151~1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Experimental Film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ways which reality constructs and transforms into unique, essential cinematic vision, raising the questions lurked mechanism of camera and filmmaking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50 feet of String> made by Leighton Pierce in 1991 who is an American Experimental filmmaker. In Pierce’s work, the domestic arena becomes the site of visual-auditory dramas that have the potential to undermine conventional ideas about the domestic.
Pierce’s consistent use of a variety of subtle dimensions of lens technology and camera placement transforms the spaces he records. He think viewers must see the film as a construction. Also he does layers of visuals and sounds, suggests that the excitement of life is not simply a fuction of accessing new places, but can lie in recognizing the astonishing complexity of the spaces nearby.
What close attention to the particulars of Pierce’s imagery and sound reveals is that, while <50 feet of String> does locate viewers within his domestic space in Iowa, the film we watch is an experience that lies somewhere between perception and memory, between fact and fiction. It is fundamentally cinematic reality, rather than a simple diary of Pierce’s personal life. Further, it is a confrontation of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Eden is distant place that we must journey to. For Pierce, the screening roon is a place of perceptual concentration that can train u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Edens that surround us and those we have internalized.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리튼 피어스 영화의 배경과 <50 피트의 실끈>
Ⅲ. <50 피트의 실끈>에서 이미지의 성격과 구성
Ⅳ. <50 피트의 실끈>에서 사운드의 성격과 구성
Ⅴ. 나오는 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여자, 정혜>에서 드러난 소설과 영화의 서사행위 조응 양상 연구
- 4k-UHD 콘텐츠의 카메라 PAN에 따른 시청 불편감 연구
- 저예산영화에서의 음악제작에 관한 대안적 방안 연구
- A Technical Study of DI Workflow in Hollywood
- The Global Movement of Narrative based VR Moving Image Contents Productions and Th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 구로사와 아키라의 후반기 영화 스타일 고찰
- <성난황소>에 나타난 캐릭터 구축을 위한 영상표현방법
- 대런 아로노프스키 영화의 편집 기법 분석-레퀴엠을 중심으로-
- 실험영화 <50 피트의 실끈>에 나타난 일상의 영화적 구성 연구
- 지역과 지역기반 영화제의 상생전략-제천국제음악영화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