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런 아로노프스키 영화의 편집 기법 분석-레퀴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zing Editing Techniques of Films by Darren Aronofsky-Focused on Requiem-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박지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5호, 107~1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is a thesis that aims to look into how Darren Aronofsky would edit films as focusing on a movie named (2000). Darren Aronofsky worked on the film, , with these original and creative editing omission, time simultaneity as well as picture division to highlight mentalities of characters and these sounds, music and various cross cuttings to be used for induced motivation have maximized dramatic tension and visual effects as well.
In addition, as he controlled lengths and speeds of images which would be accompanied by extreme close ups, he pursued diversity of editing after creating rhythmic patterns.
Working on the filmography that includes , this study categorized all these different types of editing skills and understood historic traces of editing. The study also aimed to discuss characteristics and inherent meanings of each trace while trying to figure out trends and directions of editing styles which would change with the times.
Since ‘cutting’ that had begun to simply connect a shot to another in early films was conceptualized as this term, ‘editing’, by D.W. Griffith from the USA the father of film art, editing thas been going through each development long enough until Darren Aronofsky after periods of the Soviet Montage trend, Nouvelle Vague and American New Cinema in the 1960s.
This study forecasts that in the future, the film media will be accelerated in association with science and that forms of film languages as well will evolve to keep up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times. This study appears to be academically significant it that it has investigated film editing styles of Darren Aronofsky who had founded his own visual characteristics and original editing styles that would fit the trend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여자, 정혜>에서 드러난 소설과 영화의 서사행위 조응 양상 연구
- 4k-UHD 콘텐츠의 카메라 PAN에 따른 시청 불편감 연구
- 저예산영화에서의 음악제작에 관한 대안적 방안 연구
- A Technical Study of DI Workflow in Hollywood
- The Global Movement of Narrative based VR Moving Image Contents Productions and Th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 구로사와 아키라의 후반기 영화 스타일 고찰
- <성난황소>에 나타난 캐릭터 구축을 위한 영상표현방법
- 대런 아로노프스키 영화의 편집 기법 분석-레퀴엠을 중심으로-
- 실험영화 <50 피트의 실끈>에 나타난 일상의 영화적 구성 연구
- 지역과 지역기반 영화제의 상생전략-제천국제음악영화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