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상업영화, 캐릭터의 획일성과 비확장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haracters in Korean Big-Budget Films-A Lack in Diversity and Sophist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류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6호, 181~2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espite all the challenges involved in the field of film production in Korea, recently released films have gained increasing popularity and the industry is flourishing and expanding gradually. Accordingly, the range and the number of star actors are greater than ever and it certainly is true that the number of the actors with good acting skills has dramatically increased recently. These actor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attracting audiences with high expectations of them. Just mentioning a the names of those actors, Song Kang-Ho, Choi Min-sik, Lee Byung-hun, Kim Yoon-seok, Ha Jung-woo, Kang Dong-Won, Yoo Ah-in, Lee Jung-jae, Sol Kyung-gu, etc. come up to the scene, which indicates the increased number and diversity of actors, compared to the ones in 1990s-2000s when there were a few such leading actors. Nonetheless, when we think about the acting and performance of these actors, we think of the typical and formulaic film characters that have dominated Choongmoo-ro movie market instead of their deep-thought-out characters representing different persona. When we watch a movie (even a movie of a fantastic genre), we get to see the world with multiple dimensions through projecting ourselves to and understanding a human being (not a person who is acting) who is likely to exist somewhere around us. However, the joy of meeting such characters in Korean films is hard to come by nowadays. Only stars and actors, not characters, seem to exist on the movie screen, which is a clear indication that they serve to the profit-seeking investors and companies.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changes of film characters of males, females, the elderly, adolescents, and children in Korean big-budget movies. It reveals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realizations of characters in those blockbusters that are dominating the current film market in Korea. Specifically, it suggests the ways to promote new character developments and what it means to act deep-thought-out human characters in movi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360 VR 교육의 현안과 과제-스토리가 있는 360 vr을 중심으로-
- 한중합작영화현장의 제작 시스템과 노동조건 분석-촬영감독의 예를 중심으로-
- 웨스 앤더슨 영화의 의상 활용 연구-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의 유니폼 의상을 중심으로-
- 영화의 사운드 연출이 시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트리 오브 라이프 (The Tree Of Life)>를 중심으로-
- VR 영화의 새로운 영화문법
- 영화 사실주의 속에서 나타난 상징적 표현기법 연구-영화 “어디로 갈까요?”, “러브레터”, “7월32일”중심으로-
- 천만영화 스토리 디자인 연구
- 문화예술교육으로써의 영화 실기교육 현황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 선댄스영화제의 독립창작지원 생태계
- 웹툰적 리얼리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상업영화, 캐릭터의 획일성과 비확장성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