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R 영화의 새로운 영화문법
이용수 0
- 영문명
- The New Film Grammar of VR Movie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임왕태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6호, 83~1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VR movie, a totally new cinema, is emerging fast. Due to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virtual reality, VR movie is produced with a system very different from the one used in the traditional movie. That is why we can no longer apply the traditional film grammar on VR movie production. Filmmakers should come up with a new set of film grammar right for the movies made with virtual reality platform.
Creating a series of events that happen to the main character is important in the screenplay for the traditional cinema. However, what’s important for VR screenplay is how to build the world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 It’s because the audience can see any direction they want at any moment.
Depending on how much immersion you want to create, there are two ways of directing a VR movie director can choose. If the director hopes to create a limited amount of immersion, s/he can place an invisible wall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udience. Even though the audience exist with the characters in the movie, the audience still doesn’t interact with the characters. If a total immersion is what the director wants, s/he can get rid of the wall and allow the characters to talk to the audience.
Lightfield technology is the key to the cinematography of VR movie. Though the audience exist in the movie, they are unable to move in the VR space. They are stuck in the spot where the camera was placed. But as the lightfield technology evolves,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move in the VR space as they do in the real spac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360 VR 교육의 현안과 과제-스토리가 있는 360 vr을 중심으로-
- 한중합작영화현장의 제작 시스템과 노동조건 분석-촬영감독의 예를 중심으로-
- 웨스 앤더슨 영화의 의상 활용 연구-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의 유니폼 의상을 중심으로-
- 영화의 사운드 연출이 시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트리 오브 라이프 (The Tree Of Life)>를 중심으로-
- VR 영화의 새로운 영화문법
- 영화 사실주의 속에서 나타난 상징적 표현기법 연구-영화 “어디로 갈까요?”, “러브레터”, “7월32일”중심으로-
- 천만영화 스토리 디자인 연구
- 문화예술교육으로써의 영화 실기교육 현황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 선댄스영화제의 독립창작지원 생태계
- 웹툰적 리얼리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상업영화, 캐릭터의 획일성과 비확장성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