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합작영화현장의 제작 시스템과 노동조건 분석-촬영감독의 예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Working Condition through the Joint-Korea-China Film-With focusing on cinematographer-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류재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6호, 29~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s the Chinese movie market has exploded in recent years, examples of Korean-Chinese joint films are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most of the studies are thought to be in the view of the macro view that analyzed the flow of Korean – Chinese joint films from the huge industrial perspective of the movie industry in both countries. While there is no room for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such an industrial perspective, it is also necessary to look at the flow of the Korean-Chinese joint film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look at the working conditions and the situation of the staff working at the actual site.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Korean cinematographers working in Chinese cinema in order to look at the film of both countrie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when these Korean film staffs faced the actual working circumstance in the Chinese film mak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staffs of two countries, the labor conditions, and the contract specificities through experience of several staffs who worked in the recent joint film between Korea and China.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over the recent THAAD placement issue in South Korea, and discusses future prospec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360 VR 교육의 현안과 과제-스토리가 있는 360 vr을 중심으로-
- 한중합작영화현장의 제작 시스템과 노동조건 분석-촬영감독의 예를 중심으로-
- 웨스 앤더슨 영화의 의상 활용 연구-영화 <그랜드부다페스트 호텔>의 유니폼 의상을 중심으로-
- 영화의 사운드 연출이 시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트리 오브 라이프 (The Tree Of Life)>를 중심으로-
- VR 영화의 새로운 영화문법
- 영화 사실주의 속에서 나타난 상징적 표현기법 연구-영화 “어디로 갈까요?”, “러브레터”, “7월32일”중심으로-
- 천만영화 스토리 디자인 연구
- 문화예술교육으로써의 영화 실기교육 현황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 선댄스영화제의 독립창작지원 생태계
- 웹툰적 리얼리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상업영화, 캐릭터의 획일성과 비확장성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