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기획적 측면에서 본 각색영화 연구 -소설��살인자의 기억법��을 각색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ovie adapted on the novel in terms of film planning -Focusing on the movie
adapted on the novel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최두영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9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 of delivery of a novel and a film and the issues to be considered in adaptation for film planning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vel’ and a ‘film’ in the manner of developing a ‘story.’ The first type is when a film faithfully represents a novel. The second type is when a film and a novel are harmoniously advocating each other. The third type is when a novel is only a starting point for a film. This research consider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as the second type, and demonstrates its thematic consciousness and aesthetic value. While the novel explores ‘the existential fears facing in two-fold nightmare which consists of the world around the protagonist and the world that he believes he has destroyed,’ the film simplifies it to ‘paternal love to save his daughter from the murderer.’ The novel abstracts protagonist narrator ‘s inner fear based on his memory and description, whereas the film spreads fear through the conflict behaviors between the hero and the serial killer. The reason why memory is adapted as a delusional behavior and the monologue as conflict is because novel has the power of narrative while film has the power of scenic composition. In this thesis the plot composition of the film is analyzed to present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adapting a novel to a film at the early stages of film planning.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1
Ⅱ. 본론2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