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얀 스반크마이예르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체(身體) 표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Human Body in Jan Svankmajer’s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류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9호, 35~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ilms are about humans. Most of commonly viewed epic and narrative films we watch in theaters are stories about humans. Film directors communicate and share their perspectives and world views by sculpturing human histories, lives, and psychology. As such, ‘humans’ are the central ingredient and pigment that constitutes films.
Humans are consisted of two fundamental constructs. One is an invisible mental construct such as emotion or mind and the other is a tangible physical construct. Most of films utilize the latter, that is, physical body, in order to reveal the former, that is, human emotions and psychology. This is an idealistic perspective where we see human body simply as a means to deliver our mind, which is based on a strong belief or myth that such an attempt is what makes films artistic constructs. The majority of film directors, claiming for the superiority of mind over body, believe that the expression of human mind through body is indeed a genuine approach to the fundamental nature of human world.
Contrary to this, there is a film director who realizes his materialistic view on humans of unique characteristics in his films. Jan Svankmajer is one of the film directors who depicts humans as a film material by the use of puppet animations, stop motions, and live action techniques. This paper examines how he depicts and utilizes human bodies in his films and analyzes the messages that he wants to communicate through human bodies in aesthetic and philosophical dimens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 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