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알로 영화의 거장, 다리오 아르젠토의 영상 표현 기법 - 써스페리아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Image Expression Techniques of Dario Argento as a Master of Giallo Film - Focusing on Suspiria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박지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1호, 79~1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genre of horror film, specifically Giallo film, has been elevated to an art genre by the fundamental inspirational work of director Dario Argento. is great enough to be called the best film in Dario Argento’s filmography, illustrating his excellent techniques of image for expression. The author aims to analyze and consider Dario Argento’s original techniques to create horror, starting with his biography. As a work just like textbook equipped with all the elements necessary to a horror film, the film does not suffer by comparison with recent horror film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horror films are the visual mise-en-scene and the auditory effects of music and sound. is very bold and strong in its use of mise-en-scene. The composition forming each frame also affects the depth of spac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scary environment and atmosphere. The rhetoric of metaphor and synecdoche are used for amplifying the anxiety and causing uneasiness, showing the aesthetics by giving meaning to images. By utilizing extreme contrast of shot and angle of images,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 in the space was realistically expressed, which amplified a grotesque feeling. In this film, the music and sound present a kind of catharsis by escalating a sense of fear to the climax. The main theme score dominated by low-pitched tone accords with the contents and thematic nature of this film, which works as Leit Motif. Moreover, the sound effect combined with its music and image creates the realistic sense of fear. Based on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aim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horror films, and also to imply the role of sight for the new creation.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 본론
III.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이 로젠블랏의 파운드 푸티지 영화 연구
- 현대영화의 프로타고니스트 활용방법
- 소규모(공연등)공연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과 현황분석과 효과적인 대안 연구
-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을 활용한 제작 기술 동향 연구 - 시각특수효과 영화 중심으로 -
- 지알로 영화의 거장, 다리오 아르젠토의 영상 표현 기법 - 써스페리아를 중심으로 -
- 영상미디어 플랫폼의 확장 방안 연구 - 스크린X의 연출 미학 제언 -
- 한국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DMX Lighting 상용화를 위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방송 CG 교육과정 연구
- 북한 영화 국제교류 현황 조사연구
- 한국 상업영화의 소재와 주제에 관한 연구
- 여행 프로그램의 서사구조와 의미 전달에 관한 연구
- 영화<타짜>와 <노팅힐>, TV 드라마<도깨비>를 통해 본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의 상호 연관성 연구
- 한국 스릴러 영화 속 여성 캐릭터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도어락>과 <왓칭>을 중심으로 -
-
The Narratology of the
Complex Serial Drama - Spiral Story Structure as a Time Loop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